"전국 어디든 ‘K패스’로 교통비 환급 혜택"

      2024.04.29 19:59   수정 : 2024.04.29 19:59기사원문
"정책 성공의 '키 포인트'는 이용자들이 쉽게 이해해야 한다는 점이다. 눈에 보이듯 알기 쉬워야 한다는 마음으로 누구나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인 'K-패스'를 제안했다."

29일 백승록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경제과장(사진)은 다음 달 출시되는 환급형 교통카드 'K-패스'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이용 대상은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이다. 지난 24일부터 카드 발급을 시작했고 다음 달 1일부터 시행된다. 그는 'K-패스'의 설계자로 국토부 내에서도 GTX, 국가철도망계획 등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교통전문가로 통한다.

그는 K-패스의 최대 강점으로 직관성을 꼽았다.
"국토부가 지난 2020부터 추진해온 알뜰교통카드는 거리비례형식으로 계산해 다소 복잡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면서 "이에 대한 고민으로 K-패스를 기획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K-패스의 경우 한 달에 10만원을 이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일반인 2만원, 청년 3만원, 저소득층 5만3000원 등 이용자가 환급받을 금액이 얼마인지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달 K-패스가 시행되면서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와 본격적인 경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올해 1월 말부터 월 최대 6만5000원으로 서울시내 대중교통과 따릉이 등을 무제한 탈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를 시행하고 있다. 다음 달부터 서울시민이라면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는 다른 제도에 비해 K-패스의 넓은 적용 범위가 가장 큰 차별점이 될 것으로 봤다. 그는 "K-패스는 특정한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라면서 "서울시민이 제주도나 전북 전주 등 전국 어디를 가서 대중교통을 타도 다 인정이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서울시 안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수도권 내에서도 GTX나 신분당선 등 가격대가 높은 노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크다고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K-패스 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전국 189개의 지자체가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반면, 나머지 40여개는 참여하고 있지 않다. 미참여 지자체는 모두 인구수 10만명 이하로 고령층 분포가 많아 이용이 어렵고, 행정 부담이 커 참여에 나서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는 "정부의 중요한 정책 목표가 어디에 거주하든 상관없이 K-패스의 혜택을 받도록 하는 것"이라며 "미참여 지자체들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에 출시하는 K-패스는 대중교통비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상품이니 놓치지 마시고 꼭 신청해 혜택을 받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앞으로 국토부는 다양한 정책으로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