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 대비 수자원 확보… ‘지하수’가 답!

      2018.08.28 17:21   수정 : 2018.08.28 17:21기사원문


기상 이변으로 인해 가뭄이 심화되면서 효과적인 수자원 확보 방안으로 지하수가 급부상하고 있다. 관정(우물), 지하댐 등으로 개발한 지하수를 저수지, 하천 등 지표수와 연계해 통합 관리하는 방안이다. 지하수는 증발로 인한 손실이 적고, 가뭄에도 비교적 일정한 수량을 유지한다.

최근 10여년간 거의 매년 발생될 정도로 일상화된 가뭄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이유다.



■수자원 확보 대안으로 떠오른 지하수

28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농어촌용수를 관리하는 공사는 전국에 총 1382공의 농업용 관정을 관리한다. 이를 통해 하루 약 39만 t의 농업용수를 가뭄에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특히 농업용수의 96%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는 제주 지역에는 '제주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공사는 기존 관정 단위의 소규모 급수 체계를 연계·확장해 여유 수량을 물 부족 지역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더욱 안정적인 물 공급 체계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24년까지 관정 58개, 저수조 54개소, 관로 470㎞ 등을 설치한다.

대표적 시설인 지하댐은 땅 속에 물막이 벽을 세우고 지하수 수위를 상승시켜 대용량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시설이다. 이를 통해 확보한 지하수는 집수정(물을 모으는 큰 우물)을 통해 직접 활용하거나 인근의 저수지 등에 끌어담는다. 현재 국내에 있는 지하댐은 총 6개소가 있다. 하루 14만5000㎥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공사는 이중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지하댐 5곳을 관리한다.

지하댐의 효과는 이미 검증됐다. 올해 폭염과 가뭄으로 충남 공주의 동천 취입보(하천을 막아 수량을 확보한 시설)내 유구천은 바닥을 드러내 용수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이 지역의 옥성지하댐은 마르지 않아 인근 지역에 하루 2만7900㎥의 농업용수를 원활히 공급 중이다.

경북 포항의 남송 지하댐, 경북 상주의 이안 지하댐, 전북 정읍의 고천 지하댐도 각각 인근 농경지에 필요한 용수의 45%, 42%, 29%를 공급하면서 가뭄 해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소규모 섬 '지하 저류지' 주목

지하수를 확보하는 또다른 방안은 지하저류지다. 지하저류지는 비가 올 때 저장되지 못하고, 계곡에 흐르는 물을 끌어들여 지하에 설치한 소규모 모래 저장댐에 모아 활용하는 시설이다. 모래 저장댐은 커다란 콘크리트 그릇 형태로 모래가 담겨 있어 물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시설 설치비와 관리비가 저렴해 경관을 해치지 않고, 자연 필터 작용으로 깨끗하게 물을 저장할 수 있어 가뭄시 식수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하저류지는 지형 특성상 수리시설 설치가 어려워 강우 의존도가 높은 소규모 섬 지역에 적합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규모 섬은 상수도 공급이 어렵고,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대수층(지하수가 있는 지층)이 발달되지 않아 저수지, 관정 등 기존의 물 확보시설을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지하저류지는 공사가 아이디어를 제공해 지난 2013년 공무원 연구모임에서 최우수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소규모 섬이 많은 전남도는 지난 2017년 수립한 지하수관리계획에 지하저류지 설치를 반영, 사업 추진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땅속 수자원 지도' 등 수량·수질 정보 제공

공사는 전국의 지하수 현황을 다각도로 조사·분석, '땅속 수자원 지도'를 만들어 제공한다. 보이지 않는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가뭄 시 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기 위해서다.

또 '농촌지하수관리' 사업을 추진해 지하수 개발과 이용실태, 오염원, 수질을 지역별로 조사해 고갈과 오염을 예방하는 관리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

해안과 섬 지역 농경지에서는 '해수침투조사'를 실시해 염해를 예방하기 위한 지하수 자동관측망을 설치하고 모니터링 중이다.


아울러 지역별로 지하수개발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 땅속 수자원 지도인 '수맥도'를 작성하고, 가뭄 발생 시 효율적인 지하수개발이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농촌지하수관리 사업은 245지구, 해수침투조사는 388개소, 수맥조사는 14만㏊를 완료했다.
공사는 지하수 정보와 지도서비스를 농어촌지하수넷 등을 통해 제공한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