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한번으로 재난발생 알린다

      2021.12.15 09:23   수정 : 2021.12.15 09:23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재난관리 담당자의 클릭 한번으로 방송, 문자, 라디오 등 여러 매체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 연구진이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과 양방향 멀티미디어 정보 공유를 위한 현장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을 개발했다.

15일 ETRI에 따르면 연구진은 KBS, KT, 케이아이티밸리㈜, ㈜위니텍 등 산학연과 공동으로 대전, 일산, 청주, 아산, 태백, 제주 등에서 1년간 현장에 적용해 기술을 검증했다.

또, 실질적인 확산을 위해 지자체 예·경보시스템 제조사들이 다수 속해 있는 한국방송통신산업협동조합에 이 기술을 무상으로 이전했다.

ETRI 정우석 재난안전지능화융합센터장은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은 행정안전부와 협의해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협의중"이라고 말했다.

먼저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은 여러 매체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한 번에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
5G와 UHD를 지원하는 ITU-T 표준을 적용한 통합 게이트웨이를 개발해 시스템 호환 문제를 해결했다.

덕분에 클릭 한 번으로 재해 문자, 마을 방송, 버스 전광판 등 서로 다른 곳에 자동으로 적절한 안내가 이뤄지게 했다. 5개국 언어로 번역된 재난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기술은 새로 구축된 국가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활용해 재난관리 상황실, 유관 기관, 현장 사이에서 소통을 돕는 기술이다.

재난이 발생하면, 수집된 종합 정보를 바탕으로 인근 요원들을 자동으로 대응반을 구성하고 단체 대화방도 개설된다.
요원들은 상용 메신저 앱을 쓸 때처럼 현장 상황을 자유롭게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전달하고 관제 센터는 이를 보고 효과적인 대응을 지시할 수 있다.

연구진은 국제특허 11건, 국내 특허 23건, 표준 14건, 기술 이전 1건 등 다양한 성과를 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5G, UHD 등 신규 매체와 PS-LTE 같은 신규 인프라를 활용하여 일반 국민과 재난관리 담당자가 신속·정확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통해 재난으로부터 대국민 안전권 확보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