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청년정치?…"우린 다르다"

      2022.07.21 06:00   수정 : 2022.07.21 06:00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정치권의 청년정치 의미와 역할이 새 시험대에 오르는 양상이다.

새로운 청년세대 정치 실험의 표상으로 여야 정치권에 샛별로 급부상했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각각 징계건과 당 대표 출마 무산으로 정치적 입지가 좁아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여야 각 당이 각자 청년정치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다시 고민하고, 한층 업그레이드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와 함께 여야 정치권이 청년정치를 젊은 층 표심을 얻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시킨 게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김용태·박민영·이동학·권지웅…자당에도 쓴소리 아끼지 않는 청년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국민의힘에서 인지도가 높은 청년 정치인으로는 김용태 최고위원(90년생)과 박민영 대변인(93년생) 등을 꼽을 수 있다. 둘 다 ‘친이준석계’로 분류되며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정당이라도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이나 왜곡된 기득권 정치에 대해선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다는 평이다.


실제 김 최고위원이 최근 권성동 당대행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대통령실 사적 채용 논란’에 대해 “7급에 넣어줄 줄 알았는데 9급에 넣었더라. 최저임금을 받고 서울에서 어떻게 사느냐”고 말한 것을 두고, “매우 부적절했다”며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에게 상처를 준 점에 대해 사과할 필요가 있다”고 직격했다.

올해 초 제2회 국민의힘 토론배틀에서 우승해 임명된 박 대변인은 이달 초 윤석열 정부의 부실 인사·적반하장 논란이 불거지자 페이스북에 "‘문재인 정부보다는 낫다’가 아닌 ‘윤석열 정부라서 다행’이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고 싶었다. 그러나 지금은 모르겠다"며 비판했다.

전당대회를 앞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당 쇄신’을 기치로 내걸고 출사표를 던진 청년 정치인들이 눈에 띈다. 지난해 송영길 대표 체제에서 청년 최고위원으로 활동한 이동학 전 최고위원(82년생)은 '증오·혐오·패거리 정치와 결별'을 선언하면서 당권 경쟁에 뛰어들었다. 권지웅 전 비상대책위원(88년생)도 민주당이 대선 패배 후 민생 문제가 아닌 ‘검수완박’ 법안 강행에 몰두한 점 등을 비판하면서 '보통 사람의 삶과 가까운 사람도 정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했다.

일각에선 이들 청년세대 기용을 놓고 여야가 선거를 염두에 두고 젊은 층 표심을 겨냥한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한 정치평론가는 기자와 통화에서 "그동안 여의도 정치권은 청년 비례대표 발탁, 청년 공천, 청년세대 지도부 입성 등을 통해 청년층의 환심을 사는데 주력한 게 사실"이라며 "청년층의 고민과 참신성을 반영해 기득권 정치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당초 취지는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청년세대 새로운 정치적 위상·역할 모색할 때

이에 따라 여야 각 당이 선거 환심용이 아닌, 진정한 청년층의 고민을 담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함께 청년층에 대한 공천 확대, 당 지도부 기용 확대, 젊은 층의 조직적 기반을 토대로 한 당내 지분 확대 등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지역 한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지와 통화에서 "그동안 단순한 상징성 확보 차원에서 들러리 성격으로 몇몇 당 자리나 공천에 활용하는 차원을 뛰어넘는 파격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또 영국 노동당이나 보수당 처럼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당 조직에 참여해 정치적 식견을 경험하게 해주고, 인턴제도 등을 통해 청년층 기초의원 공천을 확대시켜 젊은 당수가 나오게 하는 구조적 정당 개혁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내놨다.


일각에선 여야 각 정당이 오는 2024년 총선이 청년정치의 새로운 도약과 안착을 가늠할 수있는 전환적 변곡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glemooree@fnnews.com 김해솔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