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일회용' 청년정치?…"우린 다르다"

김해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7.21 06:00

수정 2022.07.21 06:00

자당에도 쓴소리 아끼지 않는 청년들
[파이낸셜뉴스] 정치권의 청년정치 의미와 역할이 새 시험대에 오르는 양상이다.

새로운 청년세대 정치 실험의 표상으로 여야 정치권에 샛별로 급부상했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각각 징계건과 당 대표 출마 무산으로 정치적 입지가 좁아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여야 각 당이 각자 청년정치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다시 고민하고, 한층 업그레이드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와 함께 여야 정치권이 청년정치를 젊은 층 표심을 얻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시킨 게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김용태·박민영·이동학·권지웅…자당에도 쓴소리 아끼지 않는 청년들

김용태 국민의힘 최고위원(가운데)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최고위원(가운데)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국민의힘에서 인지도가 높은 청년 정치인으로는 김용태 최고위원(90년생)과 박민영 대변인(93년생) 등을 꼽을 수 있다. 둘 다 ‘친이준석계’로 분류되며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기보다는 자신이 속한 정당이라도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이나 왜곡된 기득권 정치에 대해선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다는 평이다.

실제 김 최고위원이 최근 권성동 당대행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대통령실 사적 채용 논란’에 대해 “7급에 넣어줄 줄 알았는데 9급에 넣었더라. 최저임금을 받고 서울에서 어떻게 사느냐”고 말한 것을 두고, “매우 부적절했다”며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에게 상처를 준 점에 대해 사과할 필요가 있다”고 직격했다.

올해 초 제2회 국민의힘 토론배틀에서 우승해 임명된 박 대변인은 이달 초 윤석열 정부의 부실 인사·적반하장 논란이 불거지자 페이스북에 "‘문재인 정부보다는 낫다’가 아닌 ‘윤석열 정부라서 다행’이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고 싶었다. 그러나 지금은 모르겠다"며 비판했다.

이동학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 대표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사진기자단
이동학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 대표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사진기자단
전당대회를 앞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당 쇄신’을 기치로 내걸고 출사표를 던진 청년 정치인들이 눈에 띈다. 지난해 송영길 대표 체제에서 청년 최고위원으로 활동한 이동학 전 최고위원(82년생)은 '증오·혐오·패거리 정치와 결별'을 선언하면서 당권 경쟁에 뛰어들었다. 권지웅 전 비상대책위원(88년생)도 민주당이 대선 패배 후 민생 문제가 아닌 ‘검수완박’ 법안 강행에 몰두한 점 등을 비판하면서 '보통 사람의 삶과 가까운 사람도 정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했다.

일각에선 이들 청년세대 기용을 놓고 여야가 선거를 염두에 두고 젊은 층 표심을 겨냥한 정치적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한 정치평론가는 기자와 통화에서 "그동안 여의도 정치권은 청년 비례대표 발탁, 청년 공천, 청년세대 지도부 입성 등을 통해 청년층의 환심을 사는데 주력한 게 사실"이라며 "청년층의 고민과 참신성을 반영해 기득권 정치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당초 취지는 온데 간데 없이 사라졌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청년세대 새로운 정치적 위상·역할 모색할 때

이에 따라 여야 각 당이 선거 환심용이 아닌, 진정한 청년층의 고민을 담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함께 청년층에 대한 공천 확대, 당 지도부 기용 확대, 젊은 층의 조직적 기반을 토대로 한 당내 지분 확대 등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지역 한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지와 통화에서 "그동안 단순한 상징성 확보 차원에서 들러리 성격으로 몇몇 당 자리나 공천에 활용하는 차원을 뛰어넘는 파격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또 영국 노동당이나 보수당 처럼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당 조직에 참여해 정치적 식견을 경험하게 해주고, 인턴제도 등을 통해 청년층 기초의원 공천을 확대시켜 젊은 당수가 나오게 하는 구조적 정당 개혁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내놨다.


일각에선 여야 각 정당이 오는 2024년 총선이 청년정치의 새로운 도약과 안착을 가늠할 수있는 전환적 변곡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glemooree@fnnews.com 김해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