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 개선 나선 신라젠…"지속가능한 신약 개발사 될 것"

      2022.12.13 18:33   수정 : 2022.12.13 18:33기사원문
상장 폐지 위기에서 살아난 신라젠이 연구중심 기업으로 체질을 개선한다.

신라젠 김재경 대표(사진)는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존 개발 신약을 강화하고 새로운 신약 파이프라인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항암 신약 연구개발(R&D)을 선도하는 연구 중심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그동안 신라젠은 '펙사벡'이라는 항암바이러스 단일 물질에 의존했지만 신약개발에는 수많은 난관과 변수가 있었고 부작용 하나가 개발 전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면서 "R&D의 중단과 실패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더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신라젠은 현재 지배구조 개편 등 경영을 정상화하고 충분한 자본을 확보했다"면서 "기존 신약 개발은 물론, SJ-600 시리즈 등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연구 및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J-600은 신라젠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암세포를 용해·사멸시키는 바이러스 플랫폼으로 항암 바이러스의 정맥투여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현재 서울대 의과대학에서 SJ-600 기반의 다양한 후보물질들에 대한 전임상을 진행하고 있고 여기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면 임상을 통한 개발이나 기술수출도 가능하다.
신라젠은 내년 미국암연구학회(AACR)나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같은 최고 권위의 학회에서 관련 연구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스위스 바실리아로부터 신규 파이프라인 BAL0891을 도입해 연내 미국, 내년 국내에서 임상을 개시하는 등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지속가능한 신약 개발 기업 신라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BAL0891은 유사분열 관문 억제제(MCI)로 현재 미국 임상1상이 시작됐고 환자등록을 진행중이다. 종양을 유발하고 성장시키는 'TTK'와 'PLK1' 두 가지 인산화효소를 동시에 저해하는 물질로 신라젠은 BAL0891이 암의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할 것으로 보고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신라젠은 '삼중음성유방암(TNBC)' 등 난치성 암종을 주요 목표로 설정했고 앞으로 혈액암(AML) 등 여러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BAL0891은 단독으로도 항암 효능이 크지만 체세포 분열(mitosis)를 저해하는 기존 항암제 파클리탁셀과 병용 시 항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라젠은 연구개발(R&D)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연구 중심으로 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제약사에서 임상을 진행한 마승현 최고의약책임자(CMO)를 비롯, R&D 인력을 40% 이상 늘렸다.


김 대표는 "가용 역량을 아낌없이 투자해 연구인력을 확충하고 임상과 글로벌 빅파마로 기술 이전을 추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것"이라고 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