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파생상품컨퍼런스 석학에 듣는다] <2> 바바라 뷔히너 IEA박사

김승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08.09.01 18:48

수정 2014.11.06 03:56

파이낸셜뉴스 주최로 지난달 27∼28일 열린 ‘제6회 서울국제파생상품컨퍼런스’에서 헤지펀드와 함께 핵심으로 떠오른 이슈 중 하나가 바로 ‘그린 파이낸스’였다.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환경문제가 향후 인류의 가장 큰 숙제가 될 것이 자명한 가운데 특히 탄소배출권과 같은 환경과 금융의 연결은 어쩌면 지구를 지킬 수 있는 우리 시대 최고의 대안투자 수단이 될 수 있을지 모른다. 이번 컨퍼런스에 강연자로 참석한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바바라 뷔히너 박사(사진)를 만나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의 각종 현안에 대해 들어봤다.

“탄소배출권거래제도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시험단계’가 필요합니다.”

IEA 환경·에너지 분석가 바바라 뷔히너 박사는 교토의정서 등과 같은 환경규범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시장 메커니즘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탄소배출거래제도와 관련, “기업이 주된 대상인 만큼 합리적이고 경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환경제도와 금융상품의 연계에 대한 부분이 더욱 활성화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럽, 세계탄소배출권 시장의 리더

뷔히너 박사는 한국 등 신흥국가들에 유럽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가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은 지난 2005년 탄소거래시장 구축을 위해 3년간(2005년 1월∼2007년 12월)의 1단계 기간을 거쳐 현재 2단계로 접어들었다. 지난 1단계 시기에 탄소배출 할당량과 관련해 많은 진통이 있었다. 감축 할당량을 적게 받고자 하는 기업과 정책 당국 간의 줄다리기가 그것이다. 일부에선 소송도 잇따랐다. 이와 관련해 뷔히너 박사는 “합리적으로 할당량을 부여해야 하며 시장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실패와 교훈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도를 정착시켜 가고 있는 유럽의 탄소배출권거래제(EU-ETS)를 벤치마킹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제도 도입 시 시험 단계에서 반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법을 연구해 안정적으로 시장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유럽이 세계 환경 분야의 훌륭한 롤모델이자 리더로서 역할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초기엔 국내 단계에서 제도 구축

유럽은 이미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합해 가고 있다. 공동의 문제에 대한 국가·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상당 수준에 달했다. 이런 인프라는 역사적으로 세계대전과 전후처리 과정을 겪으면서 평화와 협력이라는 키워드들을 성공적으로 뽑아냈기에 가능했다. 반면 아시아 각국은 환경, 금융시장 등 공동의 과제와 이슈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이 서툴다. 이 점에 대해 뷔히너 박사는 “우선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거치는 게 중요하다”며 “처음에는 국내 단계에서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것이 성공하면 각국의 탄소거래시장을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와 함께 공동 거래시장으로 규모를 확대해 가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성공의 최대 열쇠는 ‘투명성’

뷔히너 박사는 또 “그린 파이낸스 구축을 위해 금융전문가들이 이 부문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투명성”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그는 효율적인 그린 파이낸스를 위해선 “수익구조와 거래가 투명하게 제시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제도를 키우기 위해서는 ‘신뢰’가 관건이며 신뢰는 거래의 ‘투명성’에서 비롯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또 “탄소거래시장 운영 역시 투명성이 중요하다”며 “제재가 따르는 감시와 감독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바바라 뷔히너 박사는 지난 2003년 오스트리아 그라츠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IEA에서 에너지·환경분석가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교토의정서, 탄소배출권거래제도와 같은 국제환경규약 및 정책 평가를 담당하고 있다.

/ehcho@fnnews.com 조은효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