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한국형 창조경제 구현하려면,기술·인재기반 생태계 필요”

박지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3.03.19 17:37

수정 2013.03.19 17:37

'창조기술과 창조인재, 그리고 창조생태계.' 향후 박근혜 정부의 '한국형 창조경제' 정책이 올바르게 구현되려면 기술과 인재를 기반으로 창조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19일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주최한 '제1회 KISTEP 창조경제포럼'에서 과학.산업계 전문가들은 새 정부가 임기 내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할 '창조경제'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려면 기초과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R&D)의 강화와 융합형 인재 육성,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을 통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 주최를 맡은 이준승 KISTEP 원장은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 희망의 새시대'라는 패러다임이 현실화되기 위해선 기존 추격형 산업 구조에서 선도형 산업구조로 우리나라의 시스템이 바뀌어야 할 것"이라며 "영국과 유럽에서 시작된 문화기반의 창조경제 패러다임과 달리 우리는 과학기술 분야를 접목해 새로운 동력과 일자리 창출에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이민화 카이스트(KAIST) 교수와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 차두원 KISTEP 정책기획실장이 각각 '창조경제란 무엇인가'와 '기업이 바라보는 창조경제' 및 '창조경제 개념과 주요국 정책 분석'에 대한 주제발표가 진행된 뒤 '생태계 창조형 R&D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전문가들의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차두원 KISTEP 정책기획실장은 "현 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의 창의성을 강조하는 주요 선진국의 패러다임과 일치하지만 국가 간 정책 초점에 차이가 있다"며 "우리나라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 정부 창조경제의 명확한 개념과 창조산업의 범위에 대한 합의 및 전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국가지식자산 시스템'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국민들이 과학기술의 수혜자인 동시에 창조자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플랫폼을 만드는 일에 앞장설 것을 제시했다.

차두원 실장은 "기술창업 활성화와 창조형 기업 육성을 위해 기술혁신 개념을 넘어 창조기술 중심으로 시스템이 개편돼야 하고 이를 통해 단기적인 성과를 만들 수 있는 분야와 중장기적으로 지원해야 할 분야를 구분하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해 창조경제를 실현한다면 창조경제 생태계의 유기적 성장이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창조인재 육성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기업 입장에서 창조경제는 논리보다 생존의 문제"라며 "기업이 잘 생존하기 위해서 기술개발, 창조인재, 기업가 정신 등 3가지 요소가 중요할 것으로 보고 이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가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화 KAIST 교수는 "현재 창조경제 정의가 혼돈에 빠져 있다는 여론이 있지만 오히려 현재의 혼돈이 우리나라의 창조경제가 제대로 뿌리내리는 좋은 계기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중진국 진입전략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창조경제 개념은 필수적이며 개방시장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조적 아이디어가 중요해지는 경제구조로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