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사회적 비용 암 2배인 치매, 연구개발은 암의 7분의 1수준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4.09 13:38

수정 2014.10.28 13:57

인구 고령화로 치매환자가 늘면서 2012년 53만명이었던 치매환자는 2025년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처럼 치매환자가 급증하면서 치매로 인한 건강 및 사회적 비용도 증가해 암의 2배 이상이 소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치매 분야에 대한 R&D(연구개발)비는 암의 7분의 1 수준에 불과해 국가 차원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치매 R&D 조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치매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8조7000억원으로 2020년에 18조9000억원, 2030년에는 38조9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10년마다 두 배씩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 미국·일본 등 치매 분야 연구개발 활성화

글로벌 치매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12년 111억 달러로 연평균성장률 8.5%로 성장해 2017년에는 167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미국은 치매의 중요성을 연방정부 차원에서 인식하고 치매 관련 법률 제정 및 연구개발에 중점적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다. 특히 치매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치료제 시장은 2010년 약 54억달러에서 2020년 약 143억달러로 성장이 예측되고 있다. 미국은 알츠하이머 극복을 국가 최우선 과제로 지정하고 2025년까지 치매 치료제 개발에 중점투자하고 있다. 일본도 새로운 치매 관련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치매 관련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치매 연구, 암 연구 투자금액 7분의 1 수준

국내 치매 치료제 시장도 2009년 720억원에서 2012년 4000억원으로 급격히 성장 중이고, 향후 연평균성장률 20%로 성장해 2020년에는 약 2조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우리나라 정부 연구개발 투자금액 중 치매 관련 투자금액은 약 318억원으로, 암 관련 연구개발 투자금액(2097억원)의 7분의 1에 불과하다. 또한 정부는 민간 참여 및 투자 활성화를 위한 상용화 프로그램 지원 강화로 민간 투자 및 연구개발 참여를 유도하고 있지만 2008년부터 2011년 국가연구개발 사업 중 기업이 연구개발 주체가 되어 민간 투자금을 매칭한 경우는 대기업 1%, 중소기업 11%에 불과하다.

■ 구체적 연구개발 계획 및 투자 확대 필요

이에 전문가들은 치매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치매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치매 질환을 국가의 주요 해결과제로 인지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개발 계획 및 투자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차원의 연구협의체 구성 및 치매 관련 연구개발·관리 센터 확대 △치매 관련 연구개발의 중장기적 기획 및 전략수립, 부처별 사업 프로그램 조정 등을 위한 협의체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기초연구 정보와 임상정보를 연계하고 중개연구 추진을 위한 공공 인프라 확대도 필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안나 연구원은 "미국의 경우 알츠하이머 연구센터를 30개소 갖추고 연구자원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는 단일 부처형 연구개발 사업에서 산업화 연계를 고려한 범부처형 프로젝트 발굴과 협력 연구로의 사업 구조를 재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인성 치매 외에 젊은층의 치매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젊은치매 방지를 위한 연구개발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