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제6회 서울국제신약포럼]대학-연구소-제약사 ‘찰떡궁합’이 글로벌 신약 낳아

홍석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6.12 17:47

수정 2014.06.12 17:47

제6회 서울국제신약포럼이 파이낸셜뉴스와 한국화학연구원 공동 주최로 1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에서 열렸다. 이날 마지막 세션인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이 열띤 토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병건 녹십자홀딩스 대표, 이석규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과장, 임요업 미래창조과학부 미래기술과 과장, 정석진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나노과 과장, 하재두 한국화학연구원 신약개발본부장. 사진=김범석 기자
제6회 서울국제신약포럼이 파이낸셜뉴스와 한국화학연구원 공동 주최로 1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 파크볼룸에서 열렸다. 이날 마지막 세션인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이 열띤 토의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병건 녹십자홀딩스 대표, 이석규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과장, 임요업 미래창조과학부 미래기술과 과장, 정석진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나노과 과장, 하재두 한국화학연구원 신약개발본부장. 사진=김범석 기자

제약업계와 연구기관은 정부의 효율적인 신약 연구개발(R&D) 지원을 당부했고, 정부 관계자들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으로 R&D 정부지원 효율성을 높인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12일 파이낸셜뉴스와 한국화학연구원 공동 주최로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제6회 서울국제신약포럼 패널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효율적인 R&D 지원시스템 구축이 R&D 지원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패널토론 좌장인 이병건 녹십자홀딩스 대표는 "지난 30년간 정부는 신약개발에 많은 지원을 했고 이제 필요한 것은 성공 경험"이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2000억원 이상 벌 수 있는 성공 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정부의 효율적인 시스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요업 미래기술과장은 "그동안 대학과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R&D를 지원해 산업화 단계로 이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면서 "대학과 연구소가 진행한 R&D가 제약사와 함께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체계를 만들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래부는 대학과 제약사가 컨소시엄을 통해 참여할 수 있도록 총 5년 중 3년은 대학 중심으로 초기물질을 개발하고, 그 다음에 제약사로 기술이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임 과장은 이러한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한국화학연구원의 화합물은행 같은 국가적 차원의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석규 보건산업진흥과장은 신약개발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위한 필요조건으로 좋은 거번너스 구축을 꼽았다. 이 과장은 "R&D 투자 포지션 중 보건·제약 분야를 늘려야 한다면서 범국가 차원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지원이 있어야 글로벌 신약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석진 산업자원통상부 바이오나노과장도 신약개발 과정에 있어서 정부가 산업 라이프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과장은 "개별 과제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상호적인 게 중요하다"면서 "산업부 입장에서는 필요한 기업과 기술을 매칭시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말했다. 정 과장은 신약의 성공을 위해서는 해외 네트워크 구축으로 수요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재두 한국화학연구원 본부장은 선도물질이 신약으로 개발되기 위해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 본부장은 "초기단계 타깃에서 유효물질로 도출되는 프로그램이 100개 이상이어야 운이 좋으면 신약 하나 나온다"면서 "국내 현실은 타깃을 출발점으로 하는 신약개발 과제가 글로벌 기준에 비해 정말 부족하다. 그래서 초기 신약개발 프로그램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는 제약선진국과 다르게 신약개발의 역량적 인프라 및 인력이 출연연 및 공공연구기관에 집중돼 있다"면서 "국내 신약개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제약사는 공공연구기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