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재난통신망 ‘자가+상용망’ LTE 가닥

최갑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7.23 17:38

수정 2014.10.24 23:21

재난통신망 ‘자가+상용망’ LTE 가닥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급물살을 타고 있는 국가재난안전무선통신망(재난통신망) 구축 사업의 첫 단추를 꿰는 기술방식 선정이 '자가망+상용망' 롱텀에볼루션(LTE) 방식으로 사실상 가닥이 잡혔다.

정부는 전문기관 연구용역을 통해 큰 틀에서 이 같은 재난통신망 기술방식 방향을 정하고, 오는 29일 공개 토론회를 거쳐 세부 구축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달에는 본격적인 사업자 선정 절차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17년까지 구축 목표인 재난통신망 사업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미래부의 기술방식 선정 결과가 이달 말 발표를 앞둔 가운데 LTE 기반의 자가망과 상용망을 혼용한 방식으로 기술방식이 압축됐다. 미래부가 지난 3일 기술방식 선정을 위한 정보제안서(RFI)를 마감한 결과 7곳의 참여 기업 대부분이 LTE 혼용 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래부 재난통신망 기술방식 선정 태스크포스(TF) 관계자는 "RFI 참여 기업들이 기존 테트라나 아이덴 방식이 아닌 LTE 기반의 기술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특히 재난통신망 구축 사업 수주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국내 이동통신 3사들은 한결같이 LTE 자가망과 상용망을 혼용한 방식을 제안한 상태다. 자가망은 재난통신망 전용 네트워크망을 새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안정성과 보안성은 우수하지만 신규 주파수 확보와 막대한 투자비 및 구축 기간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상용망은 이미 이통사들이 구축한 LTE 통신망을 재난통신망으로 활용해 구축 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반면, 대형 재난 시 '블랙아웃(통신마비)' 등의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통사들과 전문가들은 양쪽의 장단점을 수용해 건물 내부나 지하 등 음영지역에는 자가망을, 나머지 지역은 기존 상용망을 병행하는 혼용 방식을 최적안으로 보고 있다. 기술방식 선정 업무를 담당한 미래부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의뢰한 관련 연구용역 결과도 LTE 혼용방식을 유력한 대안으로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래부는 오는 29일 서울 무교동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학계와 이통사 등 산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ETRI 주관의 공개 토론회를 열고, 재난통신망 기술방식과 주파수 배정 계획을 밝힐 계획이다.
다만, 미래부는 토론회에서 상용망과 자가망 배분 기준 등 세부 기술방식에 대한 이견이 클 경우에는 내부 검토를 거쳐 이달 안까지 최종 기술방식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재난통신망 구축 계획에 따라 공개 토론회에서 의견을 수렴해 늦어도 31일까지 최종 기술방식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사실상 공개 토론회를 통해 기술방식과 주파수 배정 계획을 확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재난통신망 기술방식이 확정되면 이르면 다음 달 안에 재난통신망 구축방안이 포함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연말까지 수립해야 하는 안전행정부가 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사업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