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차관칼럼] 기상기후 빅데이터, 문제해결의 열쇠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09.21 17:22

수정 2014.09.21 17:22

[차관칼럼] 기상기후 빅데이터, 문제해결의 열쇠

기상청에서 집중호우가 예상된다고 발표했을 때 그로 인한 도로 침수나 산사태 등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과 사전대응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또한 국민 입장에서도 황사가 예보됐을 때 집에만 있어야 하는지, 어느 정도의 야외활동은 가능한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 개개인도 매순간 의사결정을 할 필요가 있으며, 의사결정의 상당부분은 기상기후와 관련돼 있다. 이와 같이 불명확한 미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만들어 국가나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로 최근 '기상기후 빅데이터'가 이슈화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기상재해 피해액은 호우, 태풍, 대설피해순으로 크게 나타났는데 호우나 대설은 같은 양의 비나 눈이 내려도 지역에 따라 피해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0년 경기 화성시와 평택시에는 비슷한 양의 비가 내렸으나 재산피해액은 5배나 차이가 났다. 강원도에서 5㎝ 정도의 눈은 대비가 잘돼 있어 큰 피해가 없지만 부산은 이 정도의 눈으로도 교통대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정부나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는 비나 눈이 얼마나 올 것이냐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어떤 피해가 예상되느냐 하는 것이다.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국민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도 있고, 또한 이를 해결하는 데 적용할 수도 있다. 기상청에서는 기상자료와 재해피해 자료를 빅데이터 분석해 지역별로 호우피해가 늘어나게 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서울한강권의 경우 강우가 집중될수록, 주거지 고도가 낮을수록, 산사태위험도가 클수록 호우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안에서는 야간의 강수나 짧은 시간의 강수가 내륙으로 갈수록 하루 총강수량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 결과는 호우예보 시 피해지역과 피해정도를 예상하는 데 활용돼 방재기관의 사전안전 진단을 가능케 하며, 지자체별로 차별화된 재난대응에 도움이 될 것이다.

기상기후 빅데이터는 방재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접목해 새로운 서비스로 가치창출이 가능하다. 기상청은 올 4월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을 구성하고 농수축산, 에너지, 체육·관광, 보건·건강, 교통·물류, 방재 등 10개 분과위원회를 통해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융합한 서비스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기상청에 요구하는 목소리도 다양하다. 현재도 다양한 기상정보가 공개되고 있지만 좀 더 쉽게, 좀 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제공해 달라는 것, 불확실한 미래 예측을 위해 기상예보 정확도가 더 높아져야 한다는 것, 국민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위해 생활반경에 근접한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달라는 것 등이다.

기상청은 기상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기후자료센터를 개선하고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 중이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 발달로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기상정보가 생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신 휴대폰에는 기온과 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있어 국민 개개인의 기상관측이 가능해졌다.
이런 풍부한 기상자료와 타 분야에서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해 쏟아져 나오는 자료를 연계, 빅데이터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지금까지 해결하기 어려울 것처럼 보였던 많은 문제에 대한 접근이 더 쉬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윤화 기상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