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한국선 다음카카오 '핀테크' 외로운 도전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11.06 17:38

수정 2014.11.06 22:21

해외와 달리 국내에선 점포 없는 인터넷 전문은행 논의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 속에 국내에서도 모바일 등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금융 활성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에선 간편결제를 제외하곤, 다음카카오가 전자지갑 기능 서비스 출시하는 것 외 별다른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CT)이 결합된 핀테크(Fin tech)에서도 해외 업체들에게 선두를 내주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 페이스북은 송금 외에도 결제 등을 아우르는 전자화폐 금융 서비스를 활발히 펼치거나 사업준비를 마무리하고 있다.

구글은 지난 2011년 5월 근거리무선통신망(NFC)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으로 일반 카드를 대체하는 모바일 결제시스템 '구글월렛(Google Wallet)'을 발표,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들은 신용카드 없이 선불카드를 활용해 미리 돈을 충전한 후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구글은 지난해 G메일을 이용해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도 선보였다. 영국에선 '전자화폐 취급기관', '모바일 결제' 사업권한을 얻어 구글월렛으로 송금과 펀드투자까지 가능하다.

애플은 애플페이를 통해 구글월렛 보다 넓은 기반의 금융사 및 유통채널과 제휴해 서비스기반을 넓히고 있다.

페이스북은 아일랜드 규제당국으로부터 전자화폐 취급기관으로 승인 받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일 통화권인 유럽 전역을 대상으로 예금, 송금 등의 전자화폐 금융서비스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 규제 회피 방식 강구

반면 국내에선 간편 결제서비스를 내놓은 다음카카오가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한번에 최대 10만원까지 송금이 가능한 뱅크월렛카카오 서비스를 오는 11일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소액결제 외 모바일 현금카드로 간단한 은행업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뱅크월렛카카오는 본격적인 모바일 뱅킹서비스라기 보다 전자지갑 서비스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은행 어플리케이션(앱)이나 상대방 계좌번호 없이 카카오톡에 등록된 친구에서 돈을 보낼 수 있는 기능으로 국내 최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결합된 전자지갑 서비스다.

다음카카오가 이런 초보적 금융 서비스에 그칠 수 밖에 업는 이유 중 하나는 다양한 금융규제를 피하기 위한 것이라는게 업계 일각의 분석이다. 다음카카오는 별도의 금융서비스를 위한 인·허가 절차 없이 금융결제원에서 개발한 모바일 뱅킹 앱을 카카오톡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터넷 기업들, 금융사업 꿈 못 꿔

그러나 현재로선 금융분야의 얽혀 있는 규제 때문에 다른 인터넷 기업들이 핀테크 시장 진출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최대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만해도 핀테크에 관심은 가질 뿐 적극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라인페이 등을 통해 글로벌에 우선 집중하고 국내는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는 수준"이라며 "자체적으로 네이버 체크아웃이란 간편결제 솔루션도 가지고 있는 상태고 국내 규제상 금융 쪽에 진입도 쉽지 않아 시장이 활성화되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때문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난 9월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2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최근 인터넷 융합신산업은 사물인터넷과 인터넷금융이라는 2개 축을 중심으로 급격히 진화 중이며 우리나라가 이러한 분야에서 뒤처지게 된다면 글로벌 시장선점 경쟁에서 낙오될 수 있다"면서 "앞으로 융합신산업 영역에서 규제혁신이 보다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인터넷 규제개선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ICT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금융, 의료에서 자동차까지 스마트폰으로 급속히 수렴되고 있는 세계 시장을 감안하면, 우리 정부는 신산업이 태동할 수 없도록 근본적으로 막혀 있는 규제들을 우선적으로 찾아내 개선해야 한다"며 "기존 산업과 신산업의 이익이 부딪치는 지점에서 산업계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