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국내 ICT기업 중 10%는 위험 기업, 위험도 커졌다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4.12.02 15:04

수정 2014.12.02 15:04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10% 이상이 경영상 위험도가 높은 위험군 기업으로 조사됐다.

ICT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고, 채무 상황까지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세계적 경기위축과 국내 디플레이션의 악영향은 ICT 기업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2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에 따르면 국내 상장된 ICT기업 353개 중 11.6%인 41개사가 위험기업으로 분류됐다. 위험 기업은 2013년 이후 2014년 상반기까지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이자지급능력이 없는 이자보상배율 1배 이하의 기업들로 추려졌다.

이런 기준으로 지난 2011년부터 2012년까지 과거 2년동안에는 ICT 위험 기업 수가 28개, 전체 비중의 8.3%에 불과했는데 지난해 위험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이어서 됐다는 분석이다.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증가율이 2013년 부터 올 상반기까지 안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ICT 기업은 97개로 전체의 27.5%를 기록했다.


수익성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이 저하된 기업도 74개로 21.0%에 달했고, 이자보상배율이 1배 이하를 기록한 기업 수는 108개로 무려 30.6%에 달했다.

올해 상반기 ICT 기업들의 전반적인 상황 또한 평탄치 않았다는 지적이다.

상장 ICT 기업 전체의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12.2%로 호황기였던 지난 2007년 대비 75.3%포인트 급감했고 불황기였던 2009년에 비해서도 14.9%포인트 감소했다.

상반기 평균 영업이익률 또한 4.0% 적자를 기록해 전년도에 비해서도 3.4%포인트 감소했고 이자지급능력 또한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은 보통 3배 이상이 돼야 이자부담능력이 적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중앙값이 1.82배로 적정치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ICT기업들이 단기지급 능력 부족으로 차입금 의존도와 부채비율이 확대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더구나 중국 ICT 기업들의 급성장에 따라 우리나라 ICT 산업의 위기론이 대두되는데다 미국의 양적완화(돈풀기) 종료 등 대외적 불안정성이 심화돼 어려움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센터 측은 "하드웨어(HW) 대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 안정성이 2013년과 비교해 저하된 상황"이라며 "HW 중소기업들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고 이들은 상대적으로 재무구조가 취약해 영향력이 더욱 크게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같은 우려 속에 ICT 기업들의 체질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주문됐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ICT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센터 측은 "ICT 벤처와 중소기업, 대기업간 기업간 연계와 하드웨어, 소프트웨서, 통신서비스간 ICT 영역별 연계를 강화해 생태계 혁신 역량을 집결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