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올해 청년실업 10% 넘을 듯.. 대학교육부터 바꿔야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2.02 17:17

수정 2015.02.02 21:58

올해 청년실업 10% 넘을 듯.. 대학교육부터 바꿔야

#.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대학교 4학년이던 취업준비생(취준생) A씨는 벌써 8년째 실업과 비정규직을 오가는 생활을 하고 있다. 처음 2년 동안은 열심히 대기업 취업을 준비했다. 하지만 서른살이 될 때까지 변변한 직장을 찾지 못하자 지방의 한 중소기업에 비정규직으로 들어갔다. 이마저도 열악한 처우와 계약기간 만료로 회사를 그만두게 됐다. 안정된 직장을 찾아 A씨는 공무원시험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새벽부터 일어나 학원 가고 혼자 밥 먹고 생활을 위해 최저임금을 겨우 받는 아르바이트도 하고 다시 새벽까지 공부하며 준비했다.

그렇게 먼 길을 돌아 A씨가 도착한 곳은 대기업 하청업체 비정규직이다. 현실은 연애와 결혼, 출산은 물론 인간 관계와 내 집 마련까지 스스로 포기한 '5포세대'였다.

#. 취준생 B씨는 벌써부터 다가오는 설에 고향 집 내려갈 일이 걱정이다. 서울의 4년제 대학을 졸업했고 이른바 '스펙 8종세트(학벌.학점.토익점수.어학연수.자격증.봉사활동.인턴.수상경력)'를 가지고 있지만 3년째 취업에 실패했다. 첫해에는 4학년이니까 아직 대학생 신분이었고, 이듬해에는 부족한 스펙만 쌓으면 될 것이라는 희망이 있어 졸업을 미뤘다. 그렇게 도전했지만 받아주는 회사는 없었다. 대기업만 노린 것도 아니고 중소기업 문도 두드렸지만 문턱 넘기는 쉽지 않았다. 이번 설에 집에 내려가면 "언제 취직하느냐"는 친척들의 질문 공세를 피할 수 없을 것 같아서 고향집 대신 서울 고시텔에 머물기로 했다.

청년실업이 우리 사회의 문제로 대두된 것은 지난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금융위기로 기업 활동이 위축되면서 상당수 청년이 실업자로 전락했던 것. 청년들의 아우성에 정부는 지난 7년 동안 창업 활성화와 신규 일자리 창출, 기업들의 채용 독려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대량 청년실업 사태를 막아보려 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실패였다.

이에 따라 근시안적 대책을 내놓기보다는 대학 교육에서부터 근본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년실업

2일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청년실업률은 13.1%로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9%에 이르렀다. 통계청이 청년실업률 조사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라고 한다.

올해 청년들의 구직활동은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취업포털 인쿠르트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대기업 10곳 중 3곳은 사람을 덜 뽑고, 대졸 신입사원 채용규모도 지난해보다 2.3% 줄어들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올해 대졸 신입사원 채용계획을 확정했다는 대기업 180곳에 물었더니 채용을 늘리겠다는 곳은 18%에 불과했다. 10곳 가운데 3곳가량은 채용규모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이런 이유로 올해 청년실업률이 10%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10%를 돌파한 곳도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10.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998년(11.9%)과 1999년(10.4%) 외환위기 직후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전라남도도 청년실업률이 10.0%로 통계청이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근본적 대응 필요

청년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대학교 교육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날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대학 졸업자 취업률 제고를 위한 재정지원정책 개선 방향' 보고서에서는 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 장학금 수혜율과 학생 1인당 교육비를 올리고 교원당 학생 수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는 대학정보공시센터 자료를 분석해 학생 1인당 교육비, 교원당 학생 수, 장학금 수혜율 등 3가지 지표가 취업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먼저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증가하면 취업률 증가폭은 더 높은 비율로 증가했다. 교원당 학생 수는 학생 수가 증가하면 취업률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학생 1인당 교육비가 연간 1280만원 이상인 경우 교원당 학생 수가 증가해도 취업률이 계속 상승하는 결과가 나왔다. 교육비가 높으면 교원당 학생 수 증가의 부정적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장학금 수혜율도 대졸생 취업률에 영향을 줬다. 장학금 수혜율이 높을수록 취업률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계우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실증적.경험적 분석 없이 잡다한 지표를 사용해 대학에 재정지원을 확대하기보다 취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지원에 예산을 배정하고 평가도 이들 항목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