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카셰어링 시장 팽창... 사고 , 개인정보 유출 방지 대책 마련 분주

박하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2.08 23:28

수정 2015.02.08 23:28

#. 최근 직장인 A씨는 카셰어링 차량을 이용하려다 낭패를 봤다. 자주 이용하던 카쉐어링 업체 홈페이지에 예약을 하는데 이미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는 메시지가 뜬 것이다. 고객 센터와 연락을 취해 봤지만 현재 차량 사용중인 것이 맞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불현듯 그는 최근 지갑을 잃어버렸던 것을 기억해냈다. 누군가 그의 신분증을 습득한 뒤 그의 개인 정보를 활용해 차량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후 해당 업체와 연락해 문제를 해결하긴 했지만 그 뒤에도 그는 누군가 자신의 명의로 차량을 사용할 것 같은 찜찜함을 떨칠 수 없었다.


30분 단위로 자동차를 빌려타는 카셰어링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안전 관리는 소홀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용자가 늘면서 사고가 잦아진 데다 스마트폰 기반 서비스인 탓에 개인 정보 유출 등 문제도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카셰어링업계에 따르면 그린카는 서비스 시작 3년만에 이용객이 51만명을 돌파해 론칭 당시보다 회원수가 186배 증가했다. 쏘카, 씨티카 등 경쟁업체들의 회원수까지 따지면 카셰어링 시장은 150만 명을 육박한다.

카셰어링의 가장 큰 장점은 직접 매장을 찾지 않고 스마트폰을 활용해 쉽게 자동차를 빌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할 길이 없으니 자연히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한다. 차량을 더럽게 사용한 뒤 그대로 반납하는 도덕적인 문제부터 안전 관리가 소홀한 부분, 명의를 도용당할 경우 대책이 미흡한 점이 그것이다.

차량의 상태가 불량한 탓에 불만이 폭주하고 책임 소재를 두고 소비자-업체간 갈등이 빈번해지자 업체들은 최근 해결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차를 빌리고 반납하는 전 과정이 모두 스마트폰을 활용해 진행되는 만큼 개인 정보 유출 방지도 큰 과제다.

이 때문에 그린카와 쏘카는 본인확인 시스템을 도입하고 본인 명의 결제카드만 가능하게 했다. 그린카는 신규로 가입하는 고객에게 본인확인 절차를 반드시 거치게 했으며, 기존 회원은 본인 명의의 결제카드를 확인하는 추가 절차를 마련했다. 쏘카 역시 올해부터 본인 확인 정책을 강화해 결제 시 본인 명의 카드가 아니면 차량 이용을 할 수 없게 했다.


카셰어링 이용자들의 상당수가 젊은 층, 초보 운전자라는 점을 감안해 후방 카메라 등 기술적인 부분도 보강했다. 이들의 경우 후진이나 주차를 하다 접촉 사고를 내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린카 관계자는 "후방카메라와 광각 미러를 장착한 이후 차량 사고율이 같은 기간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고 말했다. wild@fnnews.com 박하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