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불안한 동남아, 위기전염 차단책 있나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3.24 16:35

수정 2015.03.24 16:35

태국·말레이시아 위험군
90년대 외환위기 기억해야

아시아에 외환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태국과 말레이시아가 위험도가 높은 국가로 지목된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국가로 분류된다. 그러나 금융불안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이 같은 보고서를 냈다. 이에 따르면 한국은 중국, 인도와 함께 저위험 국가로 분류됐다.
말레이시아는 외환보유액이 적정 수준에 미달하고 태국은 2년 연속 외국인투자자금의 순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이 보고서는 최근의 글로벌 경제 상황이 지난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발발 이전과 유사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 지역으로 유입된 달러 유동성이 급격히 회귀할 경우 1997년과 같은 위기가 재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가 하락도 위기 재발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최근의 유가 하락은 동남아 산유국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직접적인 타격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6월 이후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달러 강세와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이 겹치면서 신흥국의 금융시장에 대규모 자금 이탈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ABN암로에 따르면 올해 아시아권의 정부와 기업들이 갚아야 할 외채는 3900억달러에 달한다. 만기가 대부분 2분기와 3분기에 집중돼 있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맞물려 있는 점이 불안요인이다.

한국이 빈발하는 금융위기 위험국가군에서 벗어나 있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지난 2월 말 현재 3623억달러에 이르며 경상수지도 36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외환보유액이 매년 500억달러 이상 꾸준히 불어나고 있고 경제도 성장률은 낮아졌지만 안정된 기초체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안심해서는 안 된다. 위기는 외부에서 발생해 내부로 전염되는 경우가 많다. 외환위기 때도 그랬다. 1997년 5월 태국에 불어닥친 외환위기가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을 거쳐 한국에까지 옮겨 왔음을 기억해야 한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소규모 개방경제다. 우리는 선진국들이 필요할 때 가장 손쉽게 자금을 빼갈 수 있는 시장을 갖고 있다. 세계의 금융시장에 태풍이 불면 우리는 항상 그 영향권에 들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위기 대응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위기가 닥쳤을 때 오히려 달러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금융위기 위험지대에서 항구적으로 벗어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방파제를 높이 쌓아 두었다고 방심한다면 위기는 다시 찾아올 것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