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구글, 보험-의료 등 빅데이터 기반 사업 확대 탄력받나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3.30 11:23

수정 2015.03.30 11:23

구글, 보험-의료 등 빅데이터 기반 사업 확대 탄력받나

구글, 보험-의료 등 빅데이터 기반 사업 확대 탄력받나

구글이 글로벌 검색사업을 통해 수집해 놓은 엄청난 규모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영역을 자동차, 의료, 금융 등 산업 전반으로 넓히고 있어 수익화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구글 검색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빅데이터로 응용시킬 수 있는 사업을 계속 파생시킬 것이란 전망 속에 실제 자동차 보험과 의료 등 다양한 사업으로 구글의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구글 외에도 페이스북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 확대에 나서지만 사업 영역 다각화에선 구글이 상대적으로 앞서있다는 평가다.

■영역 확대 가시화...수술 로봇 개발 나서

30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제약업체 존슨앤존슨의 의료기기 자회사 에디콘과 외과 수술용 로봇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 협력은 수술을 할 때 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영상 이미지 및 센서와 관련된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는 것으로, 수술 관련 정보를 수술 중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활용하는 플랫폼 개발과도 관련이 있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를 통해 구글은 의료 관련 로봇기술과 관련된 인체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어 또 다른 빅데이터 영역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아울러 구글의 로봇 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이다.

구글의 로봇 전략은 운영체제(OS) 생태계 확장 전략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나뉘어진 다양한 로봇 플랫폼을 구글만의 플랫폼으로 구축한다는 것이다.

구글이 지난 2013년 하반기 '오토퍼스'(Autofuss)를 인수해 로봇을 활용한 광고, 영상 디자인 제작에 나서고 있고 같은해 인수한 봇 앤 돌리(Bot&Dolly)로 특수촬영용 원격카메라 제어 자동화시스템 구축에 들어갔다. 더구나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로봇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 등 다수의 로봇회사를 인수하는 등 로봇 분야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다.

이외에도 구글은 자동차 보험 비교 서비스를 미국에서 실시한다. 자동차 보험을 판매하기 위한 인허가를 미국 내 26개 주에서 취득, 기존 보험사들을 대신해 자동차 보험을 판매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자동차 보험 비교 서비스는 구글이 개발하는 OS와도 연동된다. 구글은 스마트폰과 차량을 연동시켜 네비게이션을 비롯해 음악서비스 등을 제공해주는 '안드로이드 오토'를 최근 출시, 운전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데이터 구축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구글이 자동차 보험사업자로 영역을 키워 운전자에 맞는 보험 추천도 가능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굳이 보험사업을 하지 않아도 보험사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구글의 수익창출 가능성은 확대된다.

IT업계 관계자는 "구글은 이미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를 모을 여건을 마련하고 이 것을 요리할 기술력도 갖췄다는 점에서 다른 IT 기업보다 높은 경쟁력이 있다"며 "당장은 새로운 기기와 사업이 크게 빛은 보지 못해도 장기적으로 볼 때 구글의 영향력은 점차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계시선 여전

구글의 이런 움직임을 경계하는 시선 또한 여전하다. 빅데이터가 사기업의 관리를 받게 되면서 과도한 수익 추구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최근 2015 보아오포럼 빅데이터 세션 회의에서 "구글이 두려운 것은 구글이 그 많은 데이터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이라며 "지금까지 축적하고 앞으로도 계속 쌓일 광범위한 데이터는 매우 강력한 것으로 우리는 이것을 감시할 필요가 있고, 거버넌스를 통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사용자들의 검색 패턴과 이메일 사용,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네비게이션 패턴 등을 분석해 얻게되는 빅데이터는 자연스럽게 사생활(프라이버시) 보호와 충돌할 수 있다는 문제도 지적된다.


업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 범위가 모호한 상황에서 기존 규제가 과도한 빅데이터의 영향력을 줄일 수도 있지만 규제도 여론에 따라 흔들릴 수 있다"며 "글로벌 대형 IT기업들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영역을 넓히면서 일어나는 부작용을 감시하는 주체 또한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