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단독]세월호 선체인양TF 참여 '절래절래'...시작부터 '난관'

정지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4.28 14:50

수정 2015.04.28 14:50

세월호 선체인양이 시작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해양수산부 직원들이 인양을 관장할 '선체인양 태스크포스'(TF·가칭)에 합류하는 것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의 사회적·역사적 무게, 옛 동료의 행보, 그 동안 비판 여론 등을 감안할 때 부담스럽다는 게 주된 이유다. 이렇게 되면 정부의 당초 인양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28일 해수부와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2일 세월호 선체인양을 확정하면서 선체인양 기술검토TF와 별도로 선체인양TF를 구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선체인양TF는 해수부 과장급 등 실무진 10여명으로 꾸려진다.
TF의 장은 누가 맡게 될지 아직 검토를 해봐야 하겠지만 세월호 선체인양의 중요성 등을 감안할 때 팀장은 과장급이 하더라도 단장은 유기준 해수부 장관이나 김영석 차관이 맡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유력하다.

그러나 선체인양 확정을 발표한 지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 TF인원의 3분의 1도 채우지 못했다. 해수부와 기술검토TF에서 내부 직원들에게 선체인양TF로 합류할 것을 권유했지만 모두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고 있어서다.

해수부 관계자는 "직원들에게 개별적으로 접촉을 해 세월호 선체인양TF에 들어오라고 해봤지만 대부분 한숨을 내쉬거나 고개를 저으며 난색을 표하고 있는게 현실"이라면서 "TF 목표 인원인 10여명을 채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세월호 선체 인양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불확실성과 위험성도 상당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혹시라도 전체 혹은 일부 과정에서 실패했을 경우 그 책임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는 부담감을 해수부 직원들이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성공해도 특별한 혜택은 없다.

실제 세월호와 같은 대형 선박을 통째로 인양한 사례는 없고 선체의 부식, 빠른 조류, 불투명한 시야, 조속한 인양에 대한 국민적 염원 등은 성공 불확실성과 부담으로 꼽힌다. 2차 사고위험 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해수부 직원들이 이처럼 선체인양TF 합류를 고민하는 것은 과거를 돌이켜보면 어느 정도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세월호 사고직후 현재까지 해수부 직원 2명이 직·간접적 이유로 스스로 세상을 떠났고 1명은 책임을 지고 공직생활을 접었다. 또 해사안전국 과장들은 전원 교체됐으며 사직을 고심하고 있는 직원도 있다. 이러한 동료들의 상황을 옆에서 지켜봤는데 선체인양TF에 들어가는 것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실상 관련이 없는 직원들도 검찰의 '먼지떨이식' 수사를 받기도 했다. '국민적 관심'은 상당한 책임감을 가져야하는 것과 비례해 가장 큰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게 중론이다.

해수부 자체에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도 선체인양TF 팀원을 구하지 못하는 배경 중 하나다. 해수부는 세월호 사건 이후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직원들이 떨어져 나갔고 중징계 등으로 비어있는 자리도 10여개에 이른다. 그렇다고 TF에 타부처 직원을 넣을 수도 없다. 전문성이 없기 때문이다.

해수부 다른 관계자는 "행정자치부에서 해수부 정원을 더 늘여주는 방법 밖에 없다"면서 "최악의 경우 해수부 실국의 기존 인력을 빼내게 되면 세월호 이외의 업무는 올 스톱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제는 TF 구성이 늦어지면 다음 절차도 차례대로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정부는 TF를 구성해 기본계획을 세우고 서둘러 인양업체를 선정한 뒤 인양계획 설계, 장비 동원 등을 거쳐 9월말 혹은 10월초 수중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었다.


해수부 관계자는 "행자부와 TF에 대한 논의가 끝나지 않았다"라며 "(여건이)어려워도 조속히 TF를 구성해 다음 달 초에는 선체인양 업체에게 요청서를 보내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