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메르스가 남긴 과제? "선제대응이 위한 시스템 구축해야"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7.13 14:07

수정 2015.07.13 14:07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감염병에 대한 선제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선제 대응을 위해서는 서울시 차원에서 감염병관리본부를 만들고 정보기술(IT) 기법을 활용한 보건의료 시스템을 갖추는 등 사회에 큰 피해를 입힌 참사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 서울시 메르스 방역대책본부가 서울 세종대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개최한 '서울시 메르스 방역 및 공공의료 혁신 토론회'에서는 이 같은 논의가 이뤄졌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인사말에서 "메르스 사태가 우리에게 남긴 교훈을 다시금 깊이 생각해봐야 할 때"라며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공공기관, 의료인의 책임성이 메르스 확산 방지의 특효약"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메르스 사태 초기, 서울시가 독단적으로 행동했다는 오해를 사면서 중앙정부와 약간의 마찰이 있기도 했지만 감염병 조기 차단을 위해 선제적인 대응을 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란 점에 대해 이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조성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서울시가 단순히 질병관리본부에서 역학조서보고서를 줄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앞서서 넘겨 줄 수 있는 기능을 갖춰야 한다"며 "서울시에도 감영병관리본부와 같은 하나의 중심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조 교수는 시가 감염병 관리 전담기구를 통해 실력을 쌓아나가야 추후 감염병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앙정부이나 시나 (감염병 관리) 실력이 비슷해야 파트너십을 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체 감시체계 및 정보 수집·분석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현재 서울시 감염병관리사업지원단이 있지만, 지원단은 외부의 기관이기 때문에 시가 중심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감염병관리본부 같은 시의 중심조직을 통해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첫 단계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미국의 바이오센스(BioSense) 2.0 등을 참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바이오센스 2.0은 미국 9.11 테러 이후 국민안전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실시간으로 각 질병별 감염확산도와 응급환자 발생빈도 등을 모니터링하며 지난 2009년 신종플루, 2012년 뎅기열 확산 저지 등에 활용됐다.

유 교수는 "초기 보건당국은 감염병 대응에서는 절대 있어서는 안 될 틀린 정보를 전달한 적이 많았다"며 "감염 차단이 우선인지, 병원명 공개로 인한 파장이 우선인지도 잘 판단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토론자로 나선 서동조 서울디지털대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 등 IT 기법을 활용한 보건의료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향후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이 재발할 경우에 이번과 같은 사태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보건 의료체계를 어떻게 바꿔야 하는가를 논의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25개 자치구 보건소장들을 비롯한 의료계, 학계, 법조계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