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민 58.2% “국정원 해킹 의혹 해명, 신뢰 안해”

구자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7.17 09:57

수정 2015.07.17 09:57

국민 58.2% “국정원 해킹 의혹 해명, 신뢰 안해”

우리 국민 10명 중 6명 가량은 국민들을 대상으로 해킹을 한 적은 없다는 국가정보원장의 ‘국정원 해킹 의혹’ 해명을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 이병호 국가정보원장은 최근 확산되고 있는 국정원의 개인 휴대폰과 컴퓨터에 대한 해킹 의혹에 대해 ‘해킹 프로그램은 구입했으나 국민들을 상대로 사용한 적은 없다’는 해명을 내놨다.

이에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국민을 대상으로 이 해명을 어느 정도 신뢰하는지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전체의 58.2%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해 ‘신뢰한다’는 답변(31.4%)보다 26.8%p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17일 밝혔다. ‘잘 모름’은 10.4%였다.

지역별로 서울(신뢰 21.7% vs 불신 68.0%)에서 불신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대전·충청·세종(28.8% vs 66.8%), 광주·전라(21.5% vs 64.8%), 대구·경북(35.0% vs 53.1%), 경기·인천(34.5% vs 52.9%) 순으로 불신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부산·경남·울산(신뢰 47.4% vs 불신 45.9%)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과 불신한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했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에서는 국정원장의 해명을 불신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다. 60대 이상(신뢰 47.4% vs 불신 35.5%)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우세했는데, 30대(16.7% vs 77.1%)에서 불신 응답이 압도적인 다수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20.6% vs 69.4%), 40대(24.2% vs 62.3%) 순으로 불신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50대(신뢰 46.5% vs 불신 49.1%)에서는 불신한다는 응답과 신뢰한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는 국정원장의 해명에 대한 인식이 여야 지지층 간에 극명하게 엇갈렸다. 새누리당 지지층(신뢰 67.1% vs 불신 21.5%)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불신한다는 응답의 3배를 넘은 반면, 새정치연합 지지층(3.9% vs 93.3%)에서는 절대 다수가 불신한다고 응답했다. 여야 어느 정당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층(신뢰 11.8% vs 불신 72.7%)에서도 새정치연합 지지층에서와 같이 불신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마지막으로 정치성향별로 보면, 보수층(신뢰 60.0% vs 불신 32.4%)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불신한다는 응답의 2배에 달한 반면, 진보층(9.6% vs 85.4%)에서는 압도적인 다수가 불신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신뢰 26.2% vs 불신 67.6%)에서도 불신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5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전화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