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데스크 칼럼] 위기는 허점을 파고든다

김규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08.30 17:01

수정 2015.08.30 17:01

[데스크 칼럼] 위기는 허점을 파고든다

중국 경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극단적이다. 우선 위안화 기습절하, 중국 증시 폭락 등으로 이어진 일련의 사태로 중국이 세계 경제의 기관차에서 '폭탄'으로 돌변했다는 시선이 있다. 중국과 원자재 수급, 무역 등으로 연계성이 높고 지역적으로 가까운 국가들의 주가가 동반 폭락하고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것을 실례로 든다. 한국도 이 같은 국가군에 포함된다. 호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과 '브릭스'로 묶여 있는 브라질, 러시아 등도 범주에 묶인다. 중국발 바이러스가 과거 스페인 독감처럼 신흥국과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국가를 휩쓴다는 소위 '9월 위기설'의 근거다.


다른 분석도 있다. 중국 위기 원인으로 거론되는 저성장은 수년 전부터 중국 정부가 추진해 온 정책이라는 게 핵심 주장이다. 이른바 '뉴노멀'이다. 중국은 '성장' 중심에서 '안정' 위주로 방향을 틀었고 정부가 경제를 통제할 수 있는 카드도 여전히 많아 '중국 쇼크'라고 단언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9월 위기설은 과장됐다는 결론을 내놓는다.

외신을 통해 거의 매일 전해지는 양측의 주장 중 누가 맞는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다만 양측 모두 인정하는 공통부문은 있다. 중국 경제가 하락세이고 단기간에 수습되기는 힘든 구조라는 것이다. 실물 지표들이 단적인 예다. 최근 발표된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년여 만에 가장 낮은 47.1로 떨어졌다. 생산과잉의 증거도 많다. 독일 폭스바겐 등 중국 내 완성차 업체들은 조업단축에 돌입했고 철강사들도 감산을 시작했다. 3·4분기 경제성장률은 6%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신흥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흔들리고 미국이 금리인상 연기를 고려할 정도로 긴장하고 있지만 중국 정책당국은 '뉴노멀' 등의 새 경제정책 방향을 밀고 나갈 가능성이 높다. 중국만의 독특한 국가사회주의 시장경제 시험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중국 경제는 외부에서 보기엔 계속 '갈지(之)' 행보를 보일 것이다. 중국의 불안정이 장기화된다는 의미다. 동시에 한국을 비롯한 주변국, 나아가 세계경제는 혼란을 되풀이할 것이다.

사실 문제는 중국이라기보다는 한국이다. 발효 전이지만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엮여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전반에서의 중국 비중이 높다. 정치적으로도 북한이라는 변수를 공유하고 있다. 한국 수출의 25%는 중국행이다. 지난해 대 중국 무역흑자는 552억달러로 전체 무역흑자(471억달러)보다 많았다. 여기에다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 휘청거리는 신흥국들이 한국의 주요 수출지역 중 한 곳이다.

위기는 허점을 파고든다. 1990년 후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경험이 준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선제적으로 경제의 취약한 고리를 끊어 나가야 한다. 수출과 내수·투자가 얼어붙은 가운데 가계부채가 1100조원을 넘어선 것이 최우선 부각되는 위기 고리다.

중국발 쇼크가 장기화된다는 전제 아래 조선·석유화학 등 구조적인 부실을 안고 있는 산업의 구조조정도 서둘러야 한다.
중국과 신흥국 불안에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다가오는 총선이나 대선 과정에서 정치적·사회적 혼란이 발생하는 것도 리스크 요인이다.
기업과 정부의 빈틈 없는 대비가 필요하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국제부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