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게임

위기의 게임산업, '이대로 고사 vs. 다시 성장' 갈림길에 섰다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5.11.01 10:27

수정 2015.11.01 13:38

한국 게임산업의 침체가 고착화되고 있다. 한때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을 받던 게임산업은 이제 주목받는 성장산업의 대열에서 밀려난지 오래다.

게임산업의 대들보 역할을 하던 온라인게임은 성장세를 멈추고, 성장 전망치 마저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온라인게임의 바통을 이어받아 성장동력으로 자라야 할 모바일게임은 마땅한 흥행작을 내지 못하면서 성장의 시동이 꺼져가고 있다는 눈총을 받고 있다.

게임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할 중견 게임사들은 잇따라 온라인게임을 포기하고 있고, 모바일게임 시장은 양극화에 허덕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는 정책목표를 세울 때만 게임산업을 신 한류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뒤 정작 정치권과 함께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만 늘려가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부는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 창업의 주요 아이템으로 게임을 1순위로 제시한다. 결국 창업을 하고 난 뒤에서는 규제로 묶여 성장이 어려운 것을 알면서도 젊운 창업가들을 내몰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게임산업을 지속적인 성장산업으로 육성할 것인지, '과거 잘 나가다 사라진' 산업으로 방치할 것인지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게임, 절벽이냐 도약이냐
1일 '2015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올해와 내년 국내 온라인게임 시장의 성장률은 각각 2.6%, 2.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게임백서에서 온라인게임 시장이 같은시기 4.4%, 3.7%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던 것에 비하면 성장 예측치가 절반으로 줄어든 셈이다.

콘텐츠진흥원 측은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향후 몇년 동안 한국 온라인게임 산업은 5% 이하의 저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반면 모바일게임 시장은 향후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란 기존 전망에서 벗어나 오는 2017년까지 10%세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게임이 국내 게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3.7%지만 모바일게임의 비중은 33.5% 정도에 불과하다.

규모적인 측면에서 온라인게임을 진흥할 필요성이 높지만 정작 온라인게임 기업들의 경영 실적이 악화되면서 서비스 개발을 꺼리고 있어 침체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넷마블게임즈가 모바일게임으로 완전히 전환했고 NHN엔터테인먼트는 간편결제 등 신규사업에 집중하면서 온라인 프로젝트 퍼블리싱(배급)은 중단했다. 위메이드도 모바일게임에 집중하기 위해 주력 온라인게임 서비스 권한을 타사에 넘겼다.

업계 관계자는 "주요 게임사 온라인게임 분야 개발자들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면서 이직할 곳 마저 사라지고 있다"며 "결국 다들 하나 둘씩 떠나 모바일게임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다수"라고 말했다.

그나마 넥슨, 엔씨소프트, 네오위즈게임즈, 스마일게이트 등이 본격적인 신작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내놓을 것으로 보여 성장과 퇴조의 기로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모바일게임도 양극화에 허덕
지난해 1.7% 성장한 온라인게임과 달리 모바일게임 시장은 25% 이상 성장하면서 시장 규모가 3조원에 육박했다.

그러나 모바일게임은 특성상 게임 생명력이 짧다는 특성과 함께 온라인게임과 달리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기 어려워 양극화로 이어지는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는 분석이다.

모바일게임을 출시했던 게임사들의 올해 상반기 매출을 살펴보면 양극화는 두드러진다.

모바일게임의 대표주자로 자리잡은 넷마블게임즈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79.17% 늘며 4472억원을 기록했고 '뮤 오리진'으로 흥행한 웹젠의 매출도 같은기간 대비 200.33% 급증해 919억원을 거둬들였다.

이와 달리 뚜렷한 흥행작이 없던 네오위즈게임즈의 상반기 매출은 13.57% 감소해 930억원의 매출에 그쳤고 위메이드도 22.75% 줄어 635억원의 매출에 그쳤다. 매출 급증에 넷마블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255.71% 급증한 반면 43.24% 급감했다.

이같은 양극화는 모바일게임 스타트업으로도 전이돼 대형 게임사의 모바일게임 개발력과 마케팅 벽에 막혀 국내 투자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해지고 있다.

여기에 중국 등 해외 대형 자본에 의한 국내 모바일게임 업체들의 자본 잠식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우려가 높다.

■규제 강화는 여전히 진행중?
포화된 내수와 흥행작 부재, 중소 개발사들의 몰락으로 시련을 겪고 있는 국내 게임업계는 당국의 규제 여파에 타격을 받으며 휘청거렸다.

청소년의 심야시간 게임 이용을 차단하는 셧다운제와 웹보드게임 규제는 온라인게임사들의 사업을 흔들어놓은 대표적 규제로 꼽힌다.

올해 들어 최근 몇년간 이어진 규제 이슈가 희석되긴 했지만 확률형 아이템 규제라는 새롭게 떠올랐다. 획득할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의 종류와 획득 확률 등을 공개하도록 해 과소비를 방지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인 해당 규제는 업게에서 자율규제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게임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는 공감대가 당국과 정치권에 형성되고 있어도 아직도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산업 진흥의 발목을 잡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콘텐츠진흥원과 함께 게임 제작 역량 강화 지원 사업과 글로벌 서비스 등 해외진출 지원 등을 펼치고 있지만 업계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탐탁치 않다.

계속되는 규제 논란과 진흥책 추진에 속도가 나지 않으면서 국내 최대 게임쇼 '지스타'에 대한 기대감 마저 줄어, 대중들의 게임에 대한 인식 전환을 이끌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게임 산업진흥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돼있고 타이밍에도 문제가 있어 효과가 나지 않는다"며 "현재 게임산업은 성숙기를 넘어 쇠퇴기에 접어든 상태다.
예측가능하고 필요한 규제와 적절한 해외 시장 진출 지원, 게임산업을 위한 독자적인 정부기구를 만들어 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