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바이오헬스 산업은 미래 성장동력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1.24 16:39

수정 2016.01.24 16:39

[차관칼럼] 바이오헬스 산업은 미래 성장동력

미국 금리인상, 중국 증시불안, 유가의 끝없는 추락 등 글로벌 경제환경이 어지럽기 그지없다. 이런 가운데 그동안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조선 등 주력산업은 세계적인 저성장과 수출부진 속에 동력이 약화되고 있다. 가뜩이나 내수부진까지 겹치면서 저성장의 늪으로 빠져든다.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으로 그 해법 찾기에 나섰다.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연구인력은 물론이고 의료분야 정보기술(IT), 더 나아가 임상·건강보험·바이오뱅크 등 효율적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성장 전망이 매우 밝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양질의 일자리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시장 규모가 연간 8500조원에 달한다. 보건복지부는 2012년 세계 13위인 바이오헬스 산업을 내년에 세계 7위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시장규모를 320조원으로 키우는 게 목표다.

우리는 지난해 그 가능성을 봤다. 외국인 환자를 28만명 유치했고 중동, 중남미 등 15개국 정상 순방에서 의료진출·의약품 등 협력 양해각서(MOU)와 계약 등 총 58건을 체결했다. 제약기업의 글로벌 신약 기술 수출액도 9조3000억원에 달한다. 정부는 이런 성공사례를 확산시켜 바이오헬스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함으로써 올해는 일자리 76만개, 부가가치 65조원을 창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첫째, '한국의료 세계적 브랜드화'를 위해 지난해 12월 제정된 '의료 해외진출법'의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한다. 외국인환자 유치를 28만명에서 40만명으로 확대한다. 외국어 의료광고 허용, 부가세 환급 등 법적 지원체계를 완비하고 외국인환자 종합지원창구 개설, 통역 서비스 제공 등으로 이용 편의성을 제고시킨다. 또한 불법 유치 브로커 단속, 진료비 투명성 강화 등을 통해 시장 신뢰도도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중동·중국·러시아 등 국가·지역별 맞춤형 전략으로 의료기관의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중국·페루·칠레 등 7개국 의료기관과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추진해 성공사례를 만드는 등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해외 진출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ICT) 융합기반 의료서비스 창출'을 위해 원격의료를 우리 생활 속으로 확산시켜 국민 체감도를 향상시킨다. 원격의료 참여기관을 148개소에서 278개소로 늘리고 참여자도 5000여명에서 1만여명으로 확대한다. 도서·벽지·원양선박 등 의료 취약지 거주자 외에도 중소기업 근로자, 만성질환자, 농촌 창조마을 어르신 등에게도 원격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공공의료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원격의료에 필요한 다양한 의료기기 및 의료서비스 제공 등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것이다.

셋째 제약·의료기기 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우기 위해 제2, 제3의 한미약품을 육성한다. 2015년까지 2800억원 규모로 조성된 펀드에 15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를 추가로 조성해 유전자치료제, 줄기세포 개발 등 바이오보건 분야 연구개발(R&D)에 지원한다. 기업의 신약개발 의욕을 북돋우기 위해 글로벌 신약, 바이오 의약품 약가를 우대하고 희귀·난치질환 치료제 등의 허가기간과 절차를 간소화해 시장진입도 촉진시킨다. 미래의료의 핵심영역인 정밀·재생의료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대규모 바이오 뱅크, 줄기세포은행 등 핵심 연구 인프라를 구축한다.

정부는 이러한 3대 중점과제 추진을 통해 바이오헬스를 오는 2017년까지 세계 7대 강국으로 키울 방침이다. 전문가, 산업계,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도 구성해 산업육성 역량을 결집해 나갈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30년 바이오 기술(BT), 정보통신기술 등의 융·복합에 힘입어 바이오헬스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향후 한국경제 30년 성장을 이끌 미래신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 전문가 등 각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