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Y세대, 그들의 좌절](상)사회생활, 렌트푸어의 시작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1.24 16:50

수정 2016.01.24 22:13

취업해도 월세에, 학자금대출에.. '빚의 굴레'에 갇힌 청춘
관악구 등 대학가 전셋값 3.3㎡당 800만원 육박
사회진출기 25~29세 월급 실수령액 200만원 못미쳐..
주거비 높아 생활고 심화
Y세대는 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낳은 2세를 가리키는 말로 1980~1990년대 출생자다. 한국의 Y세대는 삼저효과(저물가, 저금리, 저유가)를 누린 호황기에 태어나 2000년대를 이끌 소비주력이자 미래 희망 세력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Y세대는 '삼포세대(연애, 결혼, 출산 등 세 가지를 포기한 세대)' '88만원 세대(청년 대부분이 비정규직이고 급여가 88만원에 불과한 세대)' 등 좌절과 시련의 대명사가 됐다. 파이낸셜뉴스는 현재 청년 세대가 직면한 현실과 이들의 고민,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개선책을 촉구하는 시리즈를 3회에 걸쳐 마련한다.

<편집자주>

서울 노량진에서 한 청년이 집을 구하기 위해 부동산 중개업소를 살펴보고 있다. 학생을 비롯한 대부분 청년들은 2000만~3000만원의 보증금에 월 30만~40만원을 내면서 겨우 생활하고 있다.<div id='ad_body2' class='ad_center'></div>
서울 노량진에서 한 청년이 집을 구하기 위해 부동산 중개업소를 살펴보고 있다. 학생을 비롯한 대부분 청년들은 2000만~3000만원의 보증금에 월 30만~40만원을 내면서 겨우 생활하고 있다.


우리 사회 청년들이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까지 내몰린 것은 '집'에 있다는 지적이다. 전·월세가 청년들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상승, 과도한 주거비용으로 생활이 불가능한 정도가 됐기 때문이다. 청년 상당수는 '렌트푸어'다. 미래 세대인 청년의 주거 현실은 이렇지만 뾰족한 대책은 보이지 않거나 실효성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청년이 가난해졌다

[Y세대, 그들의 좌절](상)사회생활, 렌트푸어의 시작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기준 20~34세 청년층의 서울 전입은 55만2428명이다. 청년층의 서울 전입은 매년 50만~60만명 수준으로, 지방에서 서울로 이동한 청년층이 처음 직면하는 어려움은 '주거난'이다. 청년 전입의 벽이 높은 곳은 대학가가 있는 관악구와 마포구, 서대문구 등이다. 전세 기준 이들 지역의 3.3㎡(1평) 당 보증금은 800만원에 육박하고 세탁기와 냉장고 등 가전제품이 옵션인 26㎡(약 8평)를 구하면 전세 보증금은 7000만원에 달한다. 보증금 3000만원에 나머지를 월세로 전환하면 월 40만원이다. 사실상 대학가 전세를 구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면 대부분 대학생은 2000만~3000만원의 보증금에 월 30만~40만원을 내면서 20~26㎡(6~8평) 규모 집에서 사는 셈이다.

주거 문제는 지방학생만 문제가 아니다. 서울이 고향인 학생들도 등·하교 시간이 1~2시간 정도가 일쑤여서 대학가 인근에 월세를 구하는 경우가 많다. 신촌에서 거주하는 대학생 이모씨(22.여)는 "집이 서울이어서 기숙사는 들어갈 수 없고 지난 3년 동안 통학하다가 등교시간이 길면 1시간30분이 걸려 친구 3명과 23㎡(약 7평) 원룸에서 살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대학생이 사회로 진출하면 절망의 벽은 더욱 높아진다. 2014년 기준 청년의 사회 진출기인 25~29세 연령층의 월급여는 230만8113원이다. 실수령액은 200만원도 되지 않는다. 여기에 △40만~50만원에 육박하는 월세 △과도한 관리비 △학자금 대출 상환 △보증금 대출로 발생한 대출이자 등 고정비용을 고려하면 취업해도 생활비는 빠듯하다.

문제는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취업을 하지 못하거나 아르바이트.저임금 비정규직 등으로 생활을 이어가는 청년이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생활비 부족 수준이 아니라 생활비 때문에 또 빚을 내야 하는 상황으로 몰리는 것이다. 합정동에 거주하는 김모씨(29)는 "도봉구에 본가가 있는데 회사와 너무 멀어 월세를 구했다"며 "대출을 받았고 월세 및 관리비로 월 45만원을 낸다. 150만원 정도가 실수령액인데 고정비를 빼면 40만원가량 남는다. 취업을 못해 심야 아르바이트를 하며 사는 친구들보다는 상황이 좋다고 위안하고 있다"고 전했다.

■외면받는 청년 주거권

서울시의 연령별 공공임대주택 입주 비율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세대주는 1.2%에 불과하고 30대 세대주는 8.5%에 그친다. 공공임대주택 정책이 3인가구 중심으로 짜여진 결과다.

더구나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을 위한 임대주택을 지으려고 하면 지역주민들이 반대하는 사례도 있다. 2012년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와 협의, 52개 유수지(빗물 저장소)에 기숙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지만 주민 반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결국 청년들이 거리로 나섰다.
지난 19일부터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와 청년유니온, 민달팽이유니온 등 청년단체들은 대법원 앞에서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민달팽이유니온 관계자는 "청년들은 소득 대비 주거비가 높아 생활비 등이 더 줄고 궁핍한 생활을 이어갈 수밖에 없다"며 "사회초년생뿐 아니라 청년 모두 들어갈 수 있는 행복주택이 늘어나야 한다.
도심 노후주택 등을 정부가 매입, 리모델링하거나 대학가에서는 학생이나 건물주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임대료를 조정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박나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