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이란 보건의료산업 진출을 위한 조건

정명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5.10 16:43

수정 2016.05.10 16:43

[특별기고] 이란 보건의료산업 진출을 위한 조건

지난 1월 이란에 대한 서방의 경제제재가 풀렸다. 이란의 원유 수출이 재개되면 경제활성화로 외국과의 교역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각국 정부는 물론 글로벌 기업들이 이란시장 진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란은 인구 8000만명에 영토가 한반도의 7.5배다. 원유 매장량 세계 4위,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2위 등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다. 하지만 수십년간의 경제제재로 인해 보건의료를 비롯한 각종 인프라가 부족하다.
이란 정부는 서방의 경제제재가 풀린 이후 의료시설 확대 및 서비스 현대화를 제5차 경제개발 계획의 핵심정책으로 정했다. 이를 토대로 보건의료 및 보건산업 분야에 대한 자국의 투자는 물론 외국의 투자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월 이란과 경제공동위원회를 열어 발전소, 플랜트 등 산업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을 약속한 데 이어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이달 초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순방에 보건의료산업 관련 단체와 기업들이 경제사절단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양국 보건당국 간 상호협력을 확대하는 내용의 협약 체결을 비롯해 제약.의료기기.화장품 관련 단체 간 양해각서(MOU), 민간기업 간에 제품 수출계약 및 MOU를 체결했다. 이번 민간기업의 수출계약 및 MOU에 따라 향후 5년간 수출예상액이 3억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이란의 보건산업시장 규모는 의약품 23억5000만달러(2014년), 의료기기 8억7000만달러(2015년), 화장품 35억달러(2014년) 등 중동국가 중 상위권에 속한다. 특히 TV 드라마 '대장금' 방영 이후 이란에서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이란시장은 우리에게 '제2의 중동 붐'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심화되는 외국 기업들과의 경쟁, 법.제도에 대한 대응, 인프라 및 투자 환경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다. 특히 보건산업 제품의 경우 인허가 절차, 지식재산권 보호 등은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이란 진출을 위해서는 마케팅 능력이 좋고 신뢰도 높은 현지 파트너를 발굴해야 한다. 중동지역의 특성상 기존 유통 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진출도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겠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이란시장에 대한 정보수집 능력의 강화와 제공, 홍보회 등을 통한 우리나라 보건의료산업의 우수성을 홍보할 계획이다. 이동형 검진센터 구축사업 등 소규모 프로젝트의 성공사례 창출 등을 시작으로 한국 의료와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한 이란 의료진들을 국내 의료연수에 참여시켜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직접 경험케 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보건의료산업이 '제2 중동붐'을 일으키려면 이란 시장의 수요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함께 다른 경쟁국가와는 차별화된 우리만의 강점을 분명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 정부와 민간의 촘촘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속도 위주의 사업 전개를 경계하되 시장성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하겠다.


이영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외부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