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세계 석학에 듣는다] 연준에 드리운 불확실성의 그림자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6.10 17:23

수정 2016.06.10 17:38

[세계 석학에 듣는다] 연준에 드리운 불확실성의 그림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신뢰의 위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나라야나 코철러코타 전 미니애폴리스연방은행 총재의 말마따나 연준 관계자들은 장기적으로 2%에 근접한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을 유지하겠다는 목표와 거의 같은 비중으로 묵시적인 수많은 다른 요인들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될지는 공개발언을 통해 연준 관계자들이 일부 암시를 주고는 있다. 금융시스템 왜곡 위험, 실업이 지속불가능한 수준으로 떨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 너무 이른 금리인상이 경제회복을 방해할 가능성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인상 기준들이 대부분 드러나지 않고 불명확하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고, 이는 연준의 행동에 대한 예측을 어렵게 한다.

코철러코타는 "이 같은 종류의 불확실성은 건전하지 못하다"면서 "소비자와 기업은 중앙은행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해 충분할 만큼 강한 감각을 갖고 있지 않으면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의 우려는 타당하다. 되레 이는 일부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연준이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를 우리가 명확히 알지 못한다는 것은 연준의 의사결정 이해를 방해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문제의 핵심은 금융시장 참가자, 아마도 연준 스스로도 경제의 참 모습을 또는 어떻게 이를 최적화해야 하는지를 모른다는 점에 있다. 또 연준이 새로운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에 활용하는지 이 역시 불투명하다.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물가안정, 최대 고용을 제외하고-어떤 요인들을 고려할지 종잡을 수 없다는 점은 문제를 악화시킨다. 연준이 특정 사안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지금처럼 경제변동성이 높은 환경에서 분별 있는 중앙은행이라면 예상.실제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기 위해 할 수 있는 건 다해야 한다.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건 안정시킬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 또는 그 이상으로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게을리하고 있다. 대신 긴축정책을 통해 스스로 운신의 폭을 좁히고 있다.

연준은 또 납득할 정도로 경제에 대한 관점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2013년 6월 연준은 2013~2015년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고, 중장기 실질 잠재 GDP 성장률 평균은 2.4%로 예상했다. 그렇지만 연간 성장률은 평균 2.3%를 기록하고 있다(또는 2016년 상반기 추산이 정확하다고 가정하고 이를 포함하면 2.2% 수준이다).

다른 측정치에서도 더 나은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준은 개인소비지출 지수에 기초한 연간 물가상승률이 2015년 1.9%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는 1.5%에 그쳤다. 마찬가지로 연방기금(FF) 금리(기준금리)가 2015년 평균 1.5%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실제는 0.25%에 불과하다.

2013년 시작하는 이 3년 기간 중 미 경제는 연준의 기대를 밑돌았고, 이는 또 마찬가지로 연준 예상을 하회했던 이전 3년 기간 경제 성적에 뒤이은 것이었다. 앞서 2007년 이후 3개년 역시 연준은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위험 가능성을 지나치게 낮게 예측했다.

이 같은 기록들을 감안하면 누구든 연준이 경제예측 모델 수정에 나섰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연준은 이 같은 비대칭을 계속 무시하고 있다. 여전히 인플레이션은 과거 인플레이션을 근거로 비현실적으로 높게 예측되고 있다. 노동시장에 대한 평가 역시 다른 지표들은 무시한 채 실업률에만 매달리고 있다.

연준은 또 금리인상 여지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시장 예상보다 더 낙관적이다. 이는 연준이 그저 불운하기만 한 게 아니라 경제에 대한 이해가 부정확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준이 계속해서 시장의 신뢰를 받으려면 핵심 목표를 알리는 데 그쳐서는 안된다. 어떤 요인들이 우선시되고, 다양한 목표들이 서로 충돌할 때 정책처방이 어떻게 이뤄질지에 대해서도 분명히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준은 내부 경제모델이 최신의 것이라는 확신을 심어줘야만 한다.

브래드포드 디롱 美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경제학 교수정리=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