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차장칼럼] 자율주행차, 신뢰 확보가 관건

오승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7.04 17:02

수정 2016.07.04 17:05

[차장칼럼] 자율주행차, 신뢰 확보가 관건

글로벌 메이저 기업들의 자동차 개발 지향점은 '자율주행차'다. 인공지능(AI) 등을 통해 조작 없이도 스스로 운행하는 이상(理想)에 가까운 드림카다. 현존하는 첨단 정보기술(IT)과 자동차기술 융합의 결정체인 셈이다. 구글, 애플 등 대형 IT사들이 선행개발로 한 발 앞서 나가고 있고, 벤츠·도요타·BMW 등 자동차 메이커들은 급하게 뒤쫓는 형국이다. 미래 먹거리 시장 선점을 위한 총력전을 펼치면서 대부분 상용화 시기를 2020년 전후로 못박고 있다. 하지만, 인명과 직결돼 한 치의 오차도 용납될 수 없는 자율주행차가 시장논리에 치우쳐 속도전으로 치닫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실제 올해 들어 자율주행차 장밋빛 청사진에 경각심을 일깨우는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다.

처음 경종을 울린 것은 자율주행차 기술의 선두주자인 구글이다. 6년간 이어진 시범운행 중 지난 3월 처음으로 사고가 났다. 도로 배수로에 놓인 모래주머니를 피해 우회전하던 중 버스 옆면과 충돌했다. 구글의 자율주행차는 버스가 속도를 줄일 것으로 판단했지만, 버스는 그대로 달려 벌어진 사고다. 한쪽이 양보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지난 5월에는 테슬라 모델S를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하던 탑승자가 숨졌다. 좌회전하는 흰색 트레일러 트럭을 인식하지 못한 게 문제였다. 엄밀히 말하면 테슬라 모델S는 완전 자율주행차가 아니라 부분 자율주행차다. 오토파일럿은 요즘 신차에 적용된 어댑티브크루즈컨트롤처럼 다양한 자율주행기술 중 하나다. 다만 핵심기술 오류라는 점에서 사안이 만만치 않다. 자율주행기술 중 단 하나라도 미흡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고속도로 등 특정 구간에 한해 작동하는 부분 자율주행 기능이 불안전하다면 완전 자율주행차 개발은 공허한 메아리일뿐이다. 법률.보험 등 제도적 뒷받침과 인프라를 차치하더라도 돌발상황, 윤리적 딜레마 등에 대처하는 본연의 기술이 완벽하지 않고선 완전 자율주행차 상용화는 머나먼 일이다. 문제는 어디까지가 완벽한 단계인지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는 것.

붐비는 도로를 알아서 피해가다 보면 예측할 수 없는 돌발변수들이 부지기수다. 또한 탑승자와 보행자 둘 중 한명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면 어느 쪽을 선택하는 게 맞는지 사람들조차 답을 내리기 어렵다. 무한대에 가까운 경우의 수와 윤리적 문제 접근방식에 대한 알고리즘을 어떻게 짜야 할지부터가 난관인 것이다.
테슬라 모델S처럼 사후약방문식 처방으로 보완하겠다고 하면 어느 누가 자율주행차를 신뢰하고 탈 수 있겠는가.

자율주행차는 차세대 자동차시장의 핵심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은 맞다. 그러나 단지 시장주도권을 잡기 위한 개발속도 경쟁보다는 더디더라도 무결점 경쟁으로 승부해야 한다.
자율주행차는 누가 먼저 상용화의 깃발을 꽂느냐가 아니라 100% 신뢰를 확보해야 주도할 수 있는 시장이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산업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