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너도나도 바리스타.. 자격증 종류만 153개

구자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7.21 16:55

수정 2016.07.21 22:41

'커피 공화국'의 두얼굴.. 자고나면 카페 창업·폐업
올해 신규등록된 자격증 33개 달해 '자격증 남발'
100% 취업보장 등 솔깃 수십만원 내고 수강생 북적
전문가 "중요한 건 실력.. 日처럼 커피붐 정리될것"
'커피 공화국'이라고 불릴 만큼 한국인의 커피 사랑이 식을 줄 모르면서 카페 창업.취업 희망자가 늘고 있다. 상당수는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학원 등에 등록하고 있지만 실제 관련업계는 자격증 필요성에 의구심을 표시한다. 더구나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바리스타 자격증이 난무, 우려도 커지고 있다.

너도나도 바리스타.. 자격증 종류만 153개

21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현재 153개의 바리스타 자격증이 발급되고 있다.

올해에만 신규 등록된 바리스타 자격증이 33개에 이른다. 이들 자격증은 대부분 국가공인이 아니라 협회.평생교육원 등에서 발급하는 민간 자격증이다.
카페 취업.창업 수요가 늘면서 바리스타 자격증이 남발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취업.창업 준비생 유혹하는 바리스타 학원

현재 바리스타 학원들은 자신의 교육 과정을 수강한 뒤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의 공신력을 앞다퉈 홍보하고 있다. 일부 학원은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하면 '100% 취업'을 보장한다거나 취업.창업을 하려면 바리스타 자격증이 필수라고 광고한다. 카페 취업.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솔깃할 만하다.

필기, 실기로 치러지는 바리스타 자격증 시험은 크게 2급과 1급으로 나뉘며 2급 자격증 취득 후 1급 시험 응시가 가능한 형태다. 2급에서 커피관련 이론 및 기본 기술을 익힌다면 1급에서는 에스프레소 머신에 대한 이해, 원두커피의 다양성 및 특징을 파악하는 형태다. 최근에는 더 세분화해 커피 마스터 과정까지 만든 기관도 있다. 일부 기관은 연습한 강의실에서 바로 실기시험을 치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수강생을 유치한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필기와 실기를 보려면 각각 3만~4만원, 5만~11만원의 응시료를 내야 한다. 게다가 자격증 준비 과정을 가르치는 학원의 수강료는 수십만원에 이른다. 물론 국비지원 과정 등을 통해 정가보다 저렴한 가격에 교육받을 수 있지만 여전히 부담되는 비용이다.

■"자격증? 없어도 돼. 실전 중요"

문제는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했다고 취업이나 창업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수 프랜차이즈 커피업체들은 바리스타 자격증 여부와 무관하게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채용시 바리스타 자격증이 있다면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가산점은 전혀 없다"며 "어차피 입사하면 회사 교육 과정을 밟게되고 채용시 중요하게 보는 것은 열정과 서비스 정신"이라고 전했다.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의 자문위원으로 알려진 바리스타 임종명씨는 이처럼 바리스타 자격증이 난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진단했다. 자신도 한 때 바리스타 자격증 실기를 맡았지만 지금은 자격증 발급기관이 급증하면서 자격증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그만한 투자 가치가 있는 지 의문이라는 것이 그의 지적이다.

임씨는 "바리스타는 자격증 유무가 중요하지 않은데도 요즘은 자격증이 있어야만 바리스타를 할 수 있는 것처럼 허위.과장광고 하는 기관이 대부분"이라며 "지금의 자격증 관련 강의는 맛있는 커피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게 아니라 10번 수업을 들으면 자격증을 딸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고 말했다.


그는 "제대로 된 자격증인지, 제대로 된 기술을 알려주는지 의문이고 그 돈을 들여가며 취득할만한 가치는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며 "동종 업계를 비판하는 것 같아 다소 불편하지만 현실이 그렇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결국 시간이 해결해줄 것으로 봤다.
임씨는 "한 때 여러 기관이 자격증을 통합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결국 이해관계가 부딪혀 무산됐고 이를 국가가 규제하는 데도 무리가 있다"며 "일본도 한 때 커피 붐이 일면서 이같은 현상이 있었으나 지금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됐고 우리나라도 당시 일본과 같은 과도기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