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fn 이사람] 김명희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경력유지지원팀장 "직장맘 인사상 고충, 여기서 해결하세요"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04 17:26

수정 2017.01.04 17:26

[fn 이사람] 김명희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경력유지지원팀장 "직장맘 인사상 고충, 여기서 해결하세요"

'사직권고' '저성과자'

우리 사회에서 직장맘들에게 붙이는 이른바 꼬리표다. '저출산' '고령화' '낮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등이 사회.경제적으로 문제라고 지적은 하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 직장맘들은 출산 및 육아휴직 보장은커녕 저성과자로 몰려 사직권고를 받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여성의 출산과 육아, 직장을 병행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직장맘들이 고충을 겪는 것은 현실 적용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실질적인 직장맘 지원을 위해 지난 2012년 4월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를 개소했다.

김명희 서울시직장맘지원센터 경력유지지원팀장(사진)은 센터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 5년째 일하고 있다.


그는 노무사로 활동하다가 센터 설립에 뛰어든 이유에 대해 "노무사가 되기 전 일생의 화두 또는 주제를 여성과 노동으로 삼았다"며 "이후 여자노무사단체의 고용평등상담실장, 여성이 많은 외국계 은행의 산별 노조 등 관련 경력을 쌓다 보니 센터에도 합류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 팀장은 우리 사회에서 직장맘이 불이익을 받는 것은 '잘못된 인식'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은 사람이 아니고 일 중심으로 판단하니 출산·육아휴직 기간을 노는 기간으로 본다"며 "이런 시각에서는 출산·육아휴직기에 근속을 인정해 퇴직금을 줘야 한다거나 대체인력을 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 등이 못마땅한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불이익은 일자리가 집중된 중소기업에서 발생한다는 것이 김 팀장의 설명이다. 지난해 기준 전체 일자리에서 50인 미만 기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50.6%, 50~300인 미만은 16.7%를 기록했다.

김 팀장은 직장맘들에게 적극적으로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조언했다. 그는 "너무 늦게 센터를 찾는 직장맘들이 있다"며 "이미 불이익을 당하고 일정부분 실수도 한 상태에서 센터를 찾으면 도와주는 데 한계가 있다. 미리 찾아오면 센터에서 밀착 대응하고 종합적으로 상담해줄 수 있다"고 당부했다.

남성 또는 남편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직장맘의 문제는 직장대디의 문제이기도 하다. 부인의 일이라든지, 남의 일이라고 여겨 구경꾼이 돼서는 안 된다.
실제 남성 육아휴직도 있지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센터에서 하는 교육 등에 부인을 대동하는 남편들이 있는데 이런 조력자의 역할이라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신과 같이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는 전문가가 더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김 팀장은 "노동 문제의 경우 기업은 자본이라는 힘을 가졌지만 근로자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노무사 등 전문가들이 공적 영역에 들어와 도울 필요가 있다"며 "예산을 투입하면 전문가 유입은 늘 것이고 유입된 전문가들은 해당 분야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