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특별기고] CES에서 본 '4차산업혁명의 희망'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1.10 19:23

수정 2017.01.10 19:23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송희경 의원이 지난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 'CES 2017'에서 자율주행차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송희경 의원이 지난 5일부터 8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박람회 'CES 2017'에서 자율주행차를 둘러보고 있다.

가전제품 전시회에서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로 변신한 전미소비자가전쇼(CES 2017)를 다녀왔다. CES 현장에서 미국과 중국의 위용과 기세에 충격을 받았다.

중국의 '정보기술(IT) 굴기'는 세계인을 압도할만 했다. 올해 3800여개의 CES 참가 기업 중 중국 기업이 무려 1300여 곳으로 34%에 달한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지만 전시장 사방에서 중국어가 영어보다 많이 들렸다. '대중창업, 만인혁신(大衆創業, 萬衆創新)'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중국 정부의 창업 정책이 꽃을 피워내고 있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현장이었다. 부러움보다는 두려움이 앞선다.

전통 IT 강국 미국도 건재함을 보여줬다. 무인차, 인공지능(AI) 기술 선도 뿐 아니라 미래 신기술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다운 면모를 보여줬다.

그렇다면 한국은?

G2 사이에 낀 '샌드위치'의 불안한 현실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넘어야 할 산은 많지만 희망과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낙관론도 갖게된 것이 올 CES다.

먼저, 한국 대기업들의 '선전포고'는 유효했다. 국제 가전의 쌍두마차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혁신을 내세워 경쟁자들에게 쉽게 자리를 내 주지 않을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신기술 구현에 그치지 않고 이용자 동선과 편의성을 고려한 상품을 내놨다. 현대자동차도 미래 모빌리티 방향성을 제시했다. 라스베이거스를 자율주행차로 질주하기도 했다. 집과 자동차가 결합된 도킹시스템은 영화 제5원소를 떠올리게 했다.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도 빛이 났다. 우리의 야박한 창업 문화를 생각한다면, 라스베이거스까지 오는 것도 쉽지 않았을 테다. 특히 유전체 기반 공유경제 플랫폼 '마이지놈박스'와 지문인식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 자물쇠 '벤지락'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 홈에 이어 스마트 헬스, 전통 산업과 융합을 통한 확장성 면에서 기대감이 커졌다.

CES를 찾은 대학생들과 청년 예비 창업가들의 열정은 그야말로 희망을 현실로 보여준 최고의 수확이었다.

결국 CES를 통해 대한민국은 △대기업의 관록 △스타트업의 아이디어 △청년 브레인이라는 3박자를 모두 갖추고 있고, 이들이 모두 세계 최고라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그러면서 숙제도 얻어왔다. 대한민국의 강점인 3가지를 융합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 3차 산업 시대에는 뛰어난 한 주체가 독주하는 체제가 눈부신 압축 성장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는 융합과 협업이 생존전략이다. 융합을 위한 불씨만 제대로 당겨준다면 융합의 3주체는 불같이 타오를 수 있다는 '이유있는 낙관'과 낙관을 현실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 CES의 수확인 셈이다.

'이유있는 낙관론'을 현실화하는데 필요한 전제조건은 대오각성한 정부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건실한 민간 자본의 투입, 대.중.소기업 상생, 창업 인식 제고...우리가 너무 잘 아는 이 해법에는 과감한 국가적 투자와 정책이 절실하다. 하위 법령이나 피상적 규제를 개선하자는 뜻이 아니다. 아무리 미리 준비 한다고 해도 법과 제도는 새로운 산업을 앞 설수 없다. 신 산업에 대한 설 익은 제도는 규제에 불과하다.

근본적으로 정부가 기술 창업과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철학적으로 꿰뚫고 있어야 한다. 촘촘한 '가이드라인'의 그물로 산업을 지도하고 가르칠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아웃라인'만 그려 주고 도전하라고 격려하는 것이 맞다. 때로는 '선을 넘어도 좋다'는 유연함과 신뢰도 보여 줘야 한다.
이러한 철학이 녹아있는 제도와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

4차 산업혁명은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가 변화하는 패러다임이다.
새로운 기회다.

새누리당 국회의원 송희경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