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전시·공연

[그림산책] 오세열 'Untitled'

정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3.06 17:14

수정 2017.03.06 17:14

우리 모두의 '제목 없는 걸작'
[그림산책] 오세열 'Untitled'

오색 단추들이 별이 되어 밤하늘을 장식하고, 소박한 꽃병이 그 우주 중간에 떠 있다. 반대편 화면에는 뾰족한 송곳으로 주문을 외듯 그어 내려갔을 것 같은 곡선이 소용돌이치듯 이어진다. 마치 아이의 그림일기 같은 이 작품은 고희를 훌쩍 넘긴 어느 대가의 '제목 없는 그림'이다.

이 작품은 추상과 반추상 사이를 넘나들며 어떠한 정의도 내려지지 않는 독보적 화풍으로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화단에서 주목하고 있는 오세열 화백(72)의 2017년작 '언타이틀드(Untitled)'다. 그림은 감상하는 이의 눈과 마음으로 정의되고, 제목 역시 그에 따라 정해진다는 그의 철학을 대변하듯 오 화백의 모든 작품의 제목은 '무제'다. 유화물감을 여러 번 칠한 뒤 면도날이나 칼로 아라비아 숫자, 낙서를 연상시키는 선을 스크레치 기법으로 긁어냈다.
여기에 단추, 플라스틱 포크, 서툰 가위질로 오렸을 법한 종이조각 등의 오브제가 더해져 무의식 속의 동심 세계를 구현한다.

작가는 초벌그림을 하지 않는다. 그 역시 끝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오 화백은 "대개 (화가들은) 처음에 붓을 잡으며 작품 구상을 하고 결론까지 연상하며 작업을 하지만 나는 그런 적이 없다. 그래서 시작과 끝이 늘 다르다. 나도 내 작품의 끝을 모른다"고 말한다.

사람이 태어나 살아가는 일생이 그러하다. 삶과 마주하는 현실은 언제나 예행연습이 없고,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끝도 알 수 없다. 오 화백의 작품은 마치 순수했던 어린 시절, 놀이터 모래 위에 무의식적으로 그리던 우리 모두의 '제목 없는 걸작'과 닮아있다.
해질녘 '걸작'을 남기고 집으로 돌아가던 그 꼬마들처럼 말이다. 모든 일에 의미와 동기부여를 해야만 하는 어른이 된 지금 이 작품에서 위로를 받게 되는 이유다.
7일부터 서울 한남동 갤러리조은에서 열리는 '오세열·김동유 사제전'에서 오 화백의 그림을 직접 감상할 수 있다.

조은주 전시기획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