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조기대선·공급과잉.. "집값 하락 우려"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3.15 17:12

수정 2017.03.15 17:12

차기정부서 규제 강화하면 주택시장 수요 위축 우려돼
야권, 전월세상한제 등 거론단기차익 노린 투자 신중해야
조기대선·공급과잉.. "집값 하락 우려"

계속되는 부동산 규제.미국의 금리인상.갈수록 조이는 가계대출로 서울 아파트 가격의 최근 수년간 상승세가 둔화될지 주목된다.

특히 조기대선이 현실화 돼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규제강화 방향으로 자리잡을 경우 주택시장 수요 위축까지 우려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대선 블랙홀과 내년 입주물량 증가세 등이 서울 아파트시장에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출 규제.입주 물량 등 부담

최근 3년간(2014~2016) 서울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이 이어져, 가격적인 부담도 커지고 있다.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가격은 2010~2013년 4년간 1809만원(부동산114 기준)에서 1621만원으로 11.7% 하락했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경기 부양 등으로 2014년 1662만원에서 2016년 1913만원으로 15.2% 반등했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공급과잉으로 인한 입주 물량 부담이 겹치면서 올해 아파트 가격은 약보합세로 상저하저가 예상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대출 금리상승 등 부동산시장 부진이 우려되고, 하반기부터 입주물량 쏟아져서 내년이 더 무섭다"며 "부동산시장은 옥석가리기가 심해지는 양극화로 갈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계부채(1344조원) 급증, 미국의 가파른 금리인상, 중도금.잔금 대출규제 등 금융 여건도 부동산시장에 부담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실장은 "중도금 대출뿐아니라 2금융권도 규제되는 등 자금조달이 안돼 주택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며 "서울 등 주택시장은 대선 이후 새 정부 정책에 따라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선주자들 부동산공약 규제에 무게

주요 대선주자들의 부동산 정책도 규제에 무게를 두면서 시장은 촉각을 세우고 있다. 보유세 인상, 전월세상한제, 월세 소득과세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미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등 야권은 전월세상한제 등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보유세 인상, 전월세상한제, 월세 소득과세 등 부동산 공약을 내세우고 있다. 경쟁자인 안희정 충남지사는 경제수도와 행정수도의 분리를 주장하고 있다.

또 강남4구 등 주요지역 아파트값도 많이 올라 상승세 둔화우려로 투자보다는 실수요 위주 접근이 필요하다는 진단도 나온다.


강남구 아파트 3.3㎡당 가격은 최근 3년새 25%(부동산114 기준) 상승했다. 같은기간 강동구 15%, 서초구 27%, 송파구 15% 씩 올랐다.


미래에셋대우 조수현 선임매니저는 "가계부채 증가.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돼 실수요 목적이 아닌 단기 자본차익을 노린 투자는 신중해야 한다"며 "분양 등 공급이 과한 지역 투자는 유의해야 하고 쏠림현상의 지역적 편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