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5G 경쟁, 성공전략을 재점검하라] "5G, 인프라 투자에 목매면 비용부담만"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4.12 19:16

수정 2017.04.12 22:37

(4.끝)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 김태경 동북아 대표
수익 내는 모델 먼저 찾고 필요한 기술.인프라 투자해야
정부도 통신정책 개선해야
"5세대(5G) 이동통신은 비즈니스 모델(BM)이다. '세계 최초 상용화'를 위한 기술 경쟁에 맹목적으로 뛰어들면 막대한 투자비용만 떠안게 된다. 특히 한국 통신사업자들은 3G에서 5G로 건너 뛰어가는 유럽 통신사나 통신 단말로 수익을 내는 장비 업체에게 휘말리면 안 된다. 한국의 강점인 4G(롱텀에볼루션.LTE) 망에 사물인터넷(IoT) 등을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5G형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수익모델을 찾는게 1차 과제다."
GSMA 김태경(John David Kim) 동북아 대표 사진=김미희 기자
GSMA 김태경(John David Kim) 동북아 대표 사진=김미희 기자


세계 220여 개국 800여 통신사업자들이 활동하고 있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GSMA)가 통신업계에 광풍처럼 일고 있는 '세계 최초 5G 상용화' 경쟁에 일침을 가했다.
5G를 기반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를 먼저 찾아내지 않고, 인프라 투자 경쟁으로 치달으면 통신업계는 비용부담만 떠안고 과실은 엉뚱한 기업들차지가 될 것이라는 말이다. 특히 GSMA는 기존 4G와 인공지능(AI) 및 IoT를 결합해 고도화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5G라고 강조했다. 인프라 자체가 5G가 아니라 스마트홈, 스마트카, 스마트 팩토리 등 각종 ICT 융합 서비스를 5G로 정의한다는 것이다.

■4G를 최대한 활용해 ICT 융합 서비스 구현하는게 현명한 5G 전략

GSMA 김태경(John David Kim) 동북아 대표(사진)는 12일 파이낸셜뉴스와 인터뷰에서 "4G와 5G는 단절된 것이 아니다"며 "기존 3G, 4G에 IoT 등이 더해진 것이 5G"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5G 세계 최초 상용화는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즉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이 핵심인 5G 인프라를 깔면 서비스들이 생겨날 것이란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5G 기반 서비스와 수익모델에 대한 방향을 먼저 정한 뒤, 여기에 필요한 기술과 인프라 투자 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태경 대표는 "한국 통신회사들처럼 탁월한 4G 인프라를 갖춘 경우에는 4G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여기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분에 5G 기술을 얹는 형태로 점진적 투자전략을 짜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초고속.초연결 인프라 기반 서비스를 발굴해 통신사업자만의 수익모델을 찾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열린 세계이동통신표준화기구(3GPP) 총회에서 연말까지 'NSA 표준'을 마련키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기존 4G LTE와 차세대 5G망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활용하는 NSA 표준이 연내 세워지면, 통신사업자는 기존 LTE망을 활용해 5G 조기 상용화를 이룰 수 있다. 즉 5G에 대한 투자를 점진적으로 늘리면서, 자율주행차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반 실감 미디어, 스마트 팩토리 등 ICT 융합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부 정책도 달라져야…탄력적인 가이드라인 마련

김 대표는 4G에서 5G로 통신 인프라가 고도화되는 과정에서 정부의 규제정책도 새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기간통신 서비스와 인터넷 플랫폼 사업자 간의 경계가 이미 사라졌다"며 "통신사업자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마음껏 구현할 수 있도록 인터넷사업자와 같은 잣대에서 탄력적으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똑같은 서비스라도 인터넷 사업자는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해 바로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반면, 통신사업자는 1년 이상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요금계획 등을 놓고 정부를 설득해야 하는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시장에서 두 산업간의 차이가 없어지고 있는데, 정부의 규제에서만 차이가 남아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GSMA는 글로벌 통신규제 정책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각국 정부의 규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권고하는 방안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