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5G 전략, 기술에서 서비스로 무게중심 이동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4.19 16:13

수정 2017.04.19 16:13

정부-이통3사 융합 테스트베드 구축 등 서비스 발굴 나서기로 
정부와 통신업계가 5세대(5G) 이동통신과 타 산업 간 융합사업 모델 찾기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그동안 사용자들이 5G를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와 융합산업 발굴에 소홀하고 기술개발에만 무게가 실려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는데,앞으로 5G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만드는데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본지 4월 10일자 2면 참조>
5G 전략, 기술에서 서비스로 무게중심 이동
■자동차·의료·교육분야에 5G 접목...하반기 융합전략 공개
19일 미래창조과학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매년 상·하반기 운영돼온 민관 협의체인 ‘5G 전략추진위원회(5G 추진위)’가 최근 자동차, 의료, 교육, 문화 등 타산업 전문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했다.

최재유 미래부 2차관이 위원장을 맡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와 삼성·LG전자, 카이스트(KAIST) 등 산학연 중심으로 운영돼 온 5G 추진위 회원을 확대한 것. 여기에는 현대자동차 전자기술센터, 분당서울대병원, 시공미디어, NHN, 써틴플로어 등의 수장들이 참여했다.

미래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이뤄지는 5G 융합서비스 실증사례를 자동차, 스마트시티,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며 “산학연 전문가 20여 명이 정기적으로 모여 5G 융합 테스트베드 구축 및 규제 개선 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른바 ‘5G 융합서비스 연구반’을 통해 발굴된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등 5G 융합 서비스 전략은 올 하반기까지 마무리하겠다는 게 미래부의 계획이다.


<표> 국내·외 5G와 타 산업 융합 테스트베드 동향
분야 주요 내용
자율주행차 -SKT, KT 등과 자동차 업계가 5G 커넥티드 카 시연 중(영종도, 평창)
스마트시티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에 5G 기반 자동화 항구, 로봇 활용 농업 시연
광업·제조업 -미국, 스웨덴, 독일은 5G 전용 네트워크 통해 광업, 제조업 서비스 구현
국가 주요 내용
미국 -스탠포드·버클리 대학 ‘개방형 네트워크‘, 뉴욕대는 의료융합 연구 진행
유럽 -독일, 영국, 핀란드 등은 5G 융합 연구용 대형 테스트베드 시험 운영 중
일본·중국 -올림픽 개최에 맞춘 5G 상용화 계획 및 융합형 테스트베드 구축 추진 중
(미래창조과학부)

■5G 특명 "글로벌 노린 비즈니스 모델 찾아라"
5G 융합산업은 일단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을 기반으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이 모델을 5G로 연결하는 방법을 활용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는 4G 이동통신망을 사용해 자율주행 및 대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주고받는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전한 자율주행의 핵심인 초저지연 등에 대한 5G 기술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까닭이다. 다만 향후 통신업계와 논의를 통해 5G 기반 자율주행차를 통해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줄 수 있는 서비스를 모색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기술표준 등 기술개발을 기다리지 않고 우선 서비스 모델 발굴에 먼저 나선 뒤 5G에 접목하겠다는 서비스 우선 전략을 세운 셈이다.

의료 분야 역시 5G와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한 환자진료와 화상상담 등 원격의료를 핵심 먹거리로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영상·이미지 등 대용량 의료데이터를 주고받는 데는 5G가 반드시 뒷받침 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비공개 회의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의료 분야는 각종 규제와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5G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 같았다”며 “하지만 해외로 눈을 돌리면 5G와 원격의료 융합을 통해 글로벌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었다”고 전했다.

또 교육과 미디어 분야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 5G 융합 서비스 개발에 관심을 보였다는 전언이다. 디지털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원격 수업이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실감 미디어 등은 모두 5G 위에서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회의 참석자는 “5G 융합 서비스 논의에 첫발을 뗀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이제는 5G 시범사업에서 5000만 국민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해 수익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모였다”고 전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