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세계 최대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K-시티' 10월 오픈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5.07 17:35

수정 2017.05.07 21:54

버스전용차로.고속주행로 등 도시형 자율주행 환경 조성
올 하반기 고속주행로 개방
선진국과 기술격차 줄이려면 자유로운 R&D환경 조성 필요
세계 최대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K-시티' 10월 오픈
이르면 오는 10월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율주행차 전용 실험도시(테스트베드) 'K-시티'가 문을 연다. 세계 최대 규모 도로 인프라가 조성될 K-시티는 자율주행차 개발업체가 특정한 환경을 설정해 다양한 시나리오로 반복시험을 할 수 있게 한 것이 강점이다.

우리 정부가 지난해 11월 자율주행차 시험운행구간을 전국(교통약자 보호구역 제외)으로 확대한 데 이어 일반인이 생활하는 도시규모의 자율주행 실험장을 만들어 자율주행산업을 지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여기다 현대.기아차는 물론 SK텔레콤과 네이버, 삼성전자 등 기업들이 잇따라 자율주행차를 끌고 실험실 밖으로 나오면서 실제 도로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기업이 특색 있는 자율주행 기술과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정부와 기업들이 자율주행자동차 사업을 확대하면서 한국 자율주행산업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다만 글로벌 완성차 업계를 비롯해 구글, 테슬라, 우버 등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2020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K-시티 내 전문인력과 소프트웨어(SW) 경쟁력도 함께 갖춰야 한다는 업계 전문가들의 조언도 잇따르고 있다.


■일반도시와 같은 환경 'K-시티'에서 자율주행 시험 무한반복

7일 국토교통부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K-시티는 현재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주행시험장(경기 화성)에 있는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시험로'를 기반으로 구축 중이다. 약 36만㎡ 규모의 K-시티엔 버스전용차로 등 도심 교통환경을 비롯해 고속주행도로, 자율주차시설, 교외도로 등 다양한 자율주행 시험환경이 조성될 예정이다. K-시티 관련 예산은 약 110억원이다.

미국(M-시티)과 중국(나이스시티) 등이 구축한 테스트베드와 비교해 봤을 때 K-시티는 세계 최다 인프라를 갖출 것이란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우선 올 하반기 K-시티 내 고속주행도로를 개방한다. 이후 내년 상반기까지 다른 시설들도 단계적으로 구축하면서 그때그때 자율주행 개발업체들이 활용하도록 할 방침이다. 게다가 K-시티는 일반도로나 시범운행단지와 달리 임시운행허가를 받지 않은 자율주행차도 시험운행을 할 수 있다.

국토부 첨단자동차기술과 관계자는 "K-시티는 일반도로와 비슷하지만 통제된 환경에서 특정상황을 반복적으로 재현하며 자율주행시험을 할 수 있어 유용하다"며 "향후 자율주행차 업계와 협력을 통해 필요한 시설물을 추가로 설치하는 등 탄력적으로 확대 운영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전문인력, 자율주행 데이터 공유 플랫폼 등 내실 갖춰야"

국토부 등 관계부처가 운전대와 페달이 없는 자율주행차까지 임시운행허가를 내주면서 규제를 완화하고, 도심형 테스트베드를 확대하는 것에 대한 업계 반응은 일단 긍정적이다. 자율주행산업에서 선진국과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자유로운 연구개발(R&D)과 테스트베드가 뒷받침돼야하기 때문이다.

국내 한 완성차업체 관계자는 "사내 연구소에도 테스트베드가 있지만 자율주행차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 데이터를 시시각각 확보하는 게 필수"라며 "그런 면에서 각종 시나리오를 테스트할 수 있는 K-시티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고 밝혔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K-시티가 전문인력과 자율주행 데이터 기록.공유 플랫폼 등 내실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K-시티에서 쌓인 자율주행 데이터는 개발업체는 물론 자동차보험과 도시계획 등 관련 생태계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핵심 빅데이터이기 때문이다.
또 완성차업체 등 대기업뿐 아니라 자율주행 센서나 소프트웨어(SW)를 만드는 '오토테크(Automotive Technology, 자동차기술)' 분야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도 K-시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