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일자리 해법은] 中·日 국가차원 ICT 인재확보전… 韓 해외유출 강건너 불구경

박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6.04 17:37

수정 2017.06.04 17:37

日, 해외 인력 유턴 유도 “2030년 ICT 59만명 부족”브라질선 취업설명회 개최
中도 고액연봉 유인책나서
韓, 관련 인력 88만명선.. 경쟁국 대비 규모 작은데도 해외유출 속도 갈수록 증가
4차산업혁명 주도하려면 인재 확보 정책 팔 걷어야
[일자리 해법은] 中·日 국가차원 ICT 인재확보전… 韓 해외유출 강건너 불구경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 간 정보통신기술(ICT) 인재 쟁탈전이 심화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정보와 데이터의 지속적인 생성과 활용 여부에 따라 산업과 기업은 물론 국가경쟁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이미 중국, 일본 등에서는 자국 내 ICT 인력 유출 방지를 위한 방어전은 물론 부족한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해외 인력 유인책 마련에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가뜩이나 ICT 인력풀이 적은 데다 해외로 인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고, 유입 능력은 떨어지면서 ICT 인재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日 "2030년 ICT 인력 59만명 부족"…정부가 팔걷고 나섰다

4일 ICT업계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이 될 ICT 인재 확보를 위한 세계 주요 국가들의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일본 정부가 본격적으로 ICT 인재 확보에 나섰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30년에 ICT 분야의 인력 부족 규모가 59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부족한 ICT 분야 인력을 충원하기 위해 해외 인재 확충 정책을 세웠다.
경제산업성은 인도 현지대학에 구인광고를 내고 기업설명회를 여는 방안을 준비 중이며, 취직을 원하는 외국 유학생 대상 지원활동을 시작했다. 후생노동성은 최근 '공공 직업안정소'에 전화통역 서비스를 시작해 영어는 물론 한국, 중국,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어 등 10개 언어로 제공한다. 또 일본 정부는 해외 거주 일본계 인력의 일본 유턴을 유도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지난달 19~21일 브라질 상파울루와 파라나마링가에서 '일본계 브라질인을 위한 취업설명회'를 열었다. 기업들 역시 해외 인재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일본은 주로 파견업체 위주의 고용이 이뤄지는데, 일본의 주요 인력파견업체는 주요국 대학의 이공계학부 출신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인재 확보 경쟁에 나선 상황. 인력 파견업체인 텐프홀딩스는 기계.전기 분야뿐 아니라 IT 분야 등으로 외국인 엔지니어 파견대상을 확대하고, 올해 외국인 엔지니어 파견인원을 전년 대비 60% 증가한 130명으로 잡았다.

중국 역시 정부와 기업들이 ICT 분야 인재들에게 고액연봉을 제시하며 글로벌 인재 확충에 본격 나서고 있다. 지난해 기준 중국의 ICT 업계 종사자들은 평균 연 12만2478위안(약 2080만원)의 임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고임금 업종인 금융업계 종사자들의 11만7418위안이나 부동산업계의 평균연봉 6만2428위안을 앞지른 것이다.

■한국 ICT 인재 유출만…인재 확보 정책 시급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할 인재가 부족하기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육성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ICT 산업 인력 규모는 세계적으로도 작은 수준이다. 지난 2015년 기준 한국의 ICT 산업 인력은 약 88만7000명으로 일본과 독일에 비해서는 각각 약 78.2%, 약 74.1% 수준이며, 중국 327만3000여명과 미국 357만3000여명에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격차가 크다.
게다가 최근 구글, 애플, 알리바바 등 글로벌 기업들이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관련 글로벌 인재 확충에 적극 나서면서 국내 ICT 인재들이 해외로 유출되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재 유입 능력 측면에서 한국은 세계 49위에 그쳤으며, 한국의 두뇌유출지수 세계 순위는 46위로 집계됐다.
현대경제연구원 이부형 이사는 "창의적 인재들이 국내에 정착하거나, 유입이 촉진될 수 있는 정책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민간부문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환경 조성, 비자제도 개선을 포함한 이민제도의 개선 등 유연한 노동시장의 창출 등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