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삶의 질을 높이는 '숲'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6.11 17:08

수정 2017.06.11 17:08

[차관칼럼] 삶의 질을 높이는 '숲'

10년 뒤 한국의 미래 예측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인구구조 변화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출산율은 1.17명으로 세계적으로 꼴찌 수준인 반면 고령화 속도는 세계 1위다. 특히 우리나라는 올해 노인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어서 고령사회로 처음 진입했으며 2026년에는 20%를 넘어서며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생산인구 감소, 소비부진, 소득양극화, 의료비 부담 증대 등 사회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그렇기 때문에 '출산.노후 걱정 없는 대한민국'을 대표공약으로 제시한 것은 정확한 진단이다. 또 사회복지.보육.의료 등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일자리 창출과 연계하겠다는 계획 역시 적절한 처방으로 본다.
다만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서비스 확대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산림이 지닌 가치다.

우리나라는 산림면적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위에 이르는 대표 산림국가이며 산림생태계의 공익적 가치는 연간 126조원으로 평가된다. 잘 가꾸어진 숲을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산림복지 자원으로 활용해야 하는 시점을 맞았다.

산림복지란 산림문화.휴양, 산림교육 및 치유 등 산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국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경제.사회.정서적 지원을 말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산림복지서비스는 스트레스 완화, 면역력 증가, 심리안정 및 신체건강 등에 긍정적 효과가 입증됐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우울증 환자의 우울감이 18.3에서 13.0으로, 스트레스호르몬 농도가 0.11에서 0.08㎎/dL로 감소했다. 소아아토피 환자는 아토피 평가지수가 15.9에서 10.5로 하락하고 폐기능이 91.1에서 95.8로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수요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늘어나는 산림복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림청은 2015년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체계적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발급, 산림복지전문업 등록 등의 추진 근거를 마련했다. 산림복지 전문 공공기관인 한국산림복지진흥원도 설립했다. 이와 함께 국민의 생애주기에 맞춰 특화된 산림복지 인프라와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있다.

숲해설가, 산림치유지도사 등 1만1000여명의 산림복지전문가를 양성하고 질 좋은 일자리 창출, 소외계층에 대한 바우처 발급도 확대하고 있다. 이런 노력에도 재원의 한계와 산림복지전문가 고용불안정, 분산.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 등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많다.

앞으로 저출산.고령화 및 소득양극화라는 시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중심의 사회서비스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산림복지는 산림자원을 기반으로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 구성원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사회 복귀, 교육을 통한 성장을 지원하는 생애주기별 평생사회안전망의 한 분야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최적의 사회서비스다. 따라서 정부가 추진하는 사회서비스 확대 및 공공성 강화와 관련해 산림복지의 가치와 잠재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국민 누구나 숲에서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새 정부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신원섭 산림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