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해외 주요국, 4차 산업혁명 대비 적극...중장기 로드맵도 나와

박지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18 14:35

수정 2017.07.18 14:35

글로벌 각국 정부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스스로 변화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아젠다를 적극 가동 중이다. 각각 중장기 로드맵을 만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면서 4차 산업혁명을 위한 국가 인프라를 갖추고, 시장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석이다.

정부가 4차산업혁명 흐름에 맞는 신규서비스를 개발하고, 선제적인 행정수요 발굴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와 시장 등 수요창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 셈이다.

■덴마크, 공공부문 디지털화로 기업 비용절감
18일 한국정보화진흥원에 따르면 덴마크는 공공부문 디지털 혁신을 위한 '디지털전략 2016-2020'을 추진 중이다. 덴마크 정부는 해당 정책을 추진하면서 "디지털화는 공공서비스의 품질향상을 가져오며, 일관성 있고 효율적인 혁신을 통해 국민 개개인과 기업을 위한 가치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덴마크 정부는 공공부문 디지털화를 통해 기업성장에 유리한 최적의 여건을 제공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목표도 세웠다.
예를 들어 공공부문이 디지털화 되면 기업은 정부가 필요로 하는 문서를 종이 대신 디지털 환경에서 제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기업들이 총 30억 크로네(약 5233억원)를 절감해 이를 성장사업에 재투자 할 수 있는 것이다.

■주요국, 정부혁신으로 성장·일자리 창출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인프라를 갖추고 정보를 열어 시장 성장을 이끌고 일자리를 창출 등에 도움을 준 사례는 이미 유럽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벨기에는 전자 청구서 및 조달 플랫폼을 구축하고, 모든 행정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 기업의 기존 송장비용 62%에 해당하는 연간 총 4500만 유로(약 583억원)를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국은 'NHS 일자리 플랫폼'을 구축해 의료 분야 종사자들의 구직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대중교통 API'는 대중교통 데이터를 집계하고 분석해 사용자 및 개발자가 대중교통 기관의 데이터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시장에 도움을 주고있다.

이 외에도 열린 전자정부 서비스를 통해 사회적 약자를 돕는 경우도 있다. 체코의 '콘토 바리에리(Konto Bariery)' 서비스는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기반의 지도로 특정 건물을 장애인이 이용하기 쉬운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가 앞장서 시장만든다
호주 연방정부는 최근 '디지털 혁신 로드맵'을 작성했다. 정부 서비스가 '단순하고 신속한' 방향으로 혁신하도록 지원해 국민들이 정부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디지털 혁신 로드맵의 일부로 정부는 공공 클라우드와 공유 서비스의 사용을 확대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떠오른 클라우드의 사용을 정부가 앞장서 사용하면서 시장을 이끌겠다는 포석이다.

두바이 정부는 모든 정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해결할 수 있는 '두바이 나우(Dubai Now)' 전자정부 플랫폼을 통해 55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해 시장을 만들고 있다. 두바이 나우 플랫폼에서는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차량 등록 센터 찾기, 수도 및 전기요금 지불, 통신회사에 통신요금 지불, 자동 도로 요금 징수 사용료 지불, 형사 사건 조사 서비스,알 자지라 재단에 기부 등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스마트 두바이 5년 전략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정부, 기업, 사회, 개인, 자원 및 인프라를 포함해 도시의 핵심 구성 요소를 디지털 전환하는 것으로 정부가 앞장서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어 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