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AI로봇과 일하는 시대 온다…정부 일자리 해법도 바뀌어야(종합)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7.26 16:34

수정 2017.07.26 17:00

"4차 산업혁명, 새롭게 생겨날 일자리에 투입될 전문인력이 없는 게 더 큰 문제"
#"미 공군이 무인정찰기를 도입했더니 조종사 1명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무인정찰기가 수집한 영상을 분석하고 무인기를 정비하는 지원인력은 300여명 늘었다."
인공지능(AI)과 산업용 로봇 등 자동화·지능화 기술이 기존 일자리를 감소시키는 반면 기술 개발·활용·유지보수·기반구축 같은 새로운 분야에서 더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졌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이와관련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란 주제의 정책토론회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예측하면서, 이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산업의 자동화 및 지능화에 의한 노동시장 영향을 논의하기 위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고용정보원 박가열 박사, 동아대학교 오민홍 교수, 한국노동연구원 김세움 연구위원, 성균관대 전용일 교수, 산업기술대학교 박철우 교수, 한국뉴욕주립대 박문수 교수,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최상운 과장(왼쪽부터)은 패널토의를 통해 자동화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에 대한 재취업을 지원하고, 신산업·신직업 분야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직업훈련 사업의 질적 고도화가 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산업의 자동화 및 지능화에 의한 노동시장 영향을 논의하기 위한 '4차 산업혁명과 노동의 미래'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고용정보원 박가열 박사, 동아대학교 오민홍 교수, 한국노동연구원 김세움 연구위원, 성균관대 전용일 교수, 산업기술대학교 박철우 교수, 한국뉴욕주립대 박문수 교수,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최상운 과장(왼쪽부터)은 패널토의를 통해 자동화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에 대한 재취업을 지원하고, 신산업·신직업 분야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직업훈련 사업의 질적 고도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사진=김미희 기자
청년 일자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무원 채용 확대 등 단기처방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생겨날 새로운 일자리 형태를 정부가 예측하고 국민들에게 재교육을 통해 새 일자리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기정책이 동시에 진행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기정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김정원 부단장은 “국민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며 "사람들이 AI 로봇과 함께 일하면서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미래형 인재를 키우기 위해선 교육 분야의 전면 개편은 물론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재훈련 제도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특성화 대학 및 학과 등을 통해 지능형 자동차와 융합임상·생명의료, 산업용 드론 등 분야별 고급인력을 키우기로 한 것이 장기 관점의 일자리 정책의 일환이다. 또 정부는 맞춤형 경력설계 지원 등 직장인들이 평생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지능정보사회추진단 최상운 과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도 문제지만, 새롭게 생겨나는 일자리에 투입될 전문가가 없다는 것도 현실적인 문제”라며 “소프트웨어(SW) 역량을 중심으로 임직원 재교육 등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생겨날 일자리에 능동적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