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WSJ "미 정치리스크, 재정한도 증액외 실체 없다"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8.25 16:53

수정 2017.08.25 16:53

미국 금융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몰고오는 정치적 위험 요인들에 맞닥뜨려 있지만 재정적자 한도 증액 여부 외에는 실체가 없는 것들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적했다. 재정적자 한도 증액이 어려움을 겪어 시장이 혼란에 빠지더라도 이 또한 매수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WSJ은 24일(현지시간) 분석기사에서 미 금융시장이 예측불허의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한 다양한 정치적 위험요인들에 맞닥뜨려 있다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시장이 당면한 정치적 위험들은 북한위기부터 백인우월주의 부상, 재계 지도자들의 백악관 자문기구 탈퇴, 대통령의 정부폐쇄 협박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대부분 트럼프의 좌충우돌식, 즉흥적 트위터 정치가 빚어낸 불안요인들이다.

그러나 시장은 차분하다.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주전 최고점을 찍은 뒤 북한위기 등 온갖 정치적 불안 요인에도 불구하고 1.5% 하락하는데 그쳤다.

위험이라는 것이 확률과 그 충격의 조합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같은 시장의 차분한 대응은 일면 타당한 면이 있다고 WSJ은 평가했다.

북한위기가 두드러진 예다.

미국과 북한간 긴장이 높아지면서 핵전쟁 공포가 연일 신문 1면을 장식했지만 이는 양측의 말 많은 지도자들간 '말폭탄' 주고 받기에 그쳤다. WSJ은 몇마디 주고 받는 것으로는 자국에도 파국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사태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1953년 휴전협정 이후 한반도에서 있었던 수많은 국지적 충돌, 긴장이 전쟁으로 이어지지 않은게 이를 입증한다고 WSJ은 전했다.

투자자들은 북한위기 같은 정치적 위험요인들은 점점 그냥 무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미 재정적자 한도 증액 논란은 그러나 얘기가 다르다.

2011년 재정적자 한도에 맞닥뜨려 미 정부가 빚을 못갚는 채무불이행(디폴트)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이 요동친 바 있다.

신용평가사 스탠드더앤드푸어스(S&P)가 미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계단 떨어뜨렸고, S&P 500 지수는 2주 동안 17% 폭락했다.

채권시장은 만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10월초 만기인 국채 수익률은 11월초가 만기인 국채 수익률보다 0.2%포인트 높게 거래되고 있다.

재정한도 증액 마감시한을 기준으로 국채 수익률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재정한도 증액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당장 10월초부터 미 연방정부 지출이 중단될 수밖에 없다.

투자자들은 10월초에 원리금을 받는 국채가 11월초에 상환되는 국채에 비해 그만큼 더 위험하다고 보고 있음을 시사한다.

11월초가 만기인 국채 수익률이 낮은 것은 한도증액이 이뤄지지는 않더라도 그 재앙적 결과에 직면한 의회가 정신을 차려 10월 중에는 증액에 합의할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다.

노무라 FT의 조던 로체스터에 따르면 특히10월, 11월 만기 국채 수익률간 0.2%포인트 격차는 2011년, 2013년, 2015년의 재정적자 한도 증액 논란 당시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해가 갈수록 의회 안에 자신들이 요구하는 정부 지출 감축을 요구하며 도발할 준비가 돼 있는 공화당 강경파가 버티고 있다는 점을 시장이 충분히 인식하게 된데 따른 것이다.


다만 파국으로 치닫지는 않으리라는 점을 감안하면 재정적자 한도 증액 논란으로 시장이 하락할 때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WSJ은 충고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