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FN 이 사람]김현지 동물보호단체 카라 정책팀장 "동물복지, 동물권리 안착 위한 필수단계"

김유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04 15:29

수정 2017.09.04 15:29

동물보호단체 카라 김현지 정책팀장 /사진=김현지 팀장 제공
동물보호단체 카라 김현지 정책팀장 /사진=김현지 팀장 제공

우리 앞에 놓인 고기가 살아있는 동물이었을 때 어떤 일을 겪었을까.

빨간 생고기를 보며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법한 질문, 그리고 누군가에게는 상당히 불편한 질문이었다.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KARA, Korea Animal Rights Adcovates)의 김현지 정책팀장(사진)은 이 같은 질문이 떠올라 고기를 제대로 먹기 힘들었다고 전했다.

그의 동물사랑이 어렸을 적부터 남달랐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김 팀장은 오랜 기간 강아지와 함께 살아왔다. 위험에 처한 길고양이를 홀로 구조해 키우기도 했다. 동물을 삶의 동반자로 삼아 온 그는 고기를 입에 대지 않는 채식주의자가 됐다.


김 팀장은 그러나 "동물보호를 위해 모두가 채식주의자가 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동물학대의 근원은 고깃집이 아니라 공장식 축산농장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에서다.

그는 대형 축산농장들 중에서 특히 식용 개농장이 동물학대의 온상이라고 꼬집는다. 그는 펜으로 그림을 그려가며 "철창의 철사가 굉장히 얇아 개들이 제대로 몸을 가누지도 못한다.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면서 개 1000~2000마리를 기르는 대형 개농장은 한국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같은 개 식용 문화가 반려동물보호의 걸림돌이 되는 것도 문제라고 강조한다. 식육견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보니 농장에는 온갖 개 품종이 다 있기 때문이다. 키우던 개를 잃어버렸을 때 보신탕 가게를 서성거렸다던 김 팀장은 그 당시가 떠올랐는지 눈을 질끈 감았다.

김 팀장은 먹기 위한 동물을 위한 복지는 모순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일부 인정한다. 하지만 동물복지는 동물권리라는 개념을 안착시키기 위해 밟아야 하는 필수단계라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복지도 없는 상태에서 권리를 말할 수는 없다"면서 "동물을 일방적으로 착취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현실부터 바꾸려면 동물복지가 선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범위를 넓혔다. 김 팀장은 동물보호를 삶의 전면적인 문제로 보고 접근한다. 식용동물 뿐만 아니라 실험동물까지 아우르기 위해서는 식용이 아니라 동물에 초점을 맞춰야 했다. 그래서 그는 앞으로 동물복지부터 보급시키겠다는 생각이다.

인터뷰를 마치자 그는 반려견 사진을 보여주겠다며 건물 아래층으로 내려갔다. 이어 건네받은 것은 그의 명함. 뒷면을 보니 그와 13년간 함께해 왔던 도베르만견 '깜식이' 사진이 있었다.
3년 전 사별했지만 깜식이는 여전히 동물학대 현장을 뛰어다니는 그를 지탱해주는 버팀목이었다.

kua@fnnews.com 김유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