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펀드·채권·IB

연준 자산축소 '제2의 금융위기' 불러일으킬 수도 <도이체방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9.21 08:21

수정 2017.09.21 10:21

도이체방크가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와 같은 양적긴축정책이 제 2의 금융위기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20일 마켓워치는 도이체방크의 “넥스트 금융위기(The Next Financial Crisis)”라는 88페이지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도이체방크는 “다음번 금융위기는 글로벌 양적완화정책에서 손을 떼기 시작하는 초기단계인 동시에 글로벌 부채가 (최소한 정부 기준으로라도) 사상 최고치인 시기일 것”라고 말했다.

도이체방크는 양적완화정책을 투자자들이 심드렁하게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양적완화정책이 지속돼 온 기간이 긴데다 유럽중앙은행, 일본은행, 영국은행 모두 대규모 양적완화정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연준은 금융위기 당시부터 2014년까지 자산매입을 진행했으며 이후엔 그 규모를 유지해왔다.


도이체 방크는 “현재 상황이 너무 오래 지속돼왔던지라 사람들이 점점 지금 상황이 정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상황은 정상과는 거리가 멀다, 금융위기 이후 4대 중앙은행의 보유자산은 10조 달러나 늘었다”고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이건 통화정책 수준을 넘어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영국, 일본 그리고 유로존은 2008년 정부부채를 감당하면서 까지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으로 총 34조 달러를 퍼부었기 때문이다.

도이체방크는 “34조 규모의 경기부양책이 해낸 것이라곤 느린 성장, 낮은 인플레이션, 하늘을 찌를 듯한 전세계 자산가격 뿐이다”라면서 “이건 예상하지도 못한 상황이며, 이게 정상화된다면 무슨 상황이 벌어질지 누가 알겠나”라고 경고했다.

연준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에 영향을 안 주면서 긴축정책을 펼칠 방법이 있는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졌다. 양적완화의 목표가 채권가격을 높이고 장기 수익률을 낮추는 것이다. 채권수익률이 너무 낮아지자 투자자들은 주식 등의 기타 자산으로 옮겨가 자산가격을 높였다. 긴축을 시작하면 수익률은 당연히 상승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도이체방크는 말했다.

도이체방크는 "양적긴축은 가보지 않은 길"이라면서 글로벌 자산 가격이 너무 높은 수준인 만큼, 양적긴축은 상당한 댓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도이체방크는 또 경기부양을 위해 공격적으로 돈을 찍어내면서 주요 중앙은행의 부채도 엄청나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양적완화로 정부부채는 커지고 수익률은 하락세를 보였던 것이다.

이 결과 G7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정부 부채는 위기가 아닌 때로는 최고 수준이다. 지난 몇 년간 금리는 수백년새 최저치를 기록했다.
기준금리와 장기수익률 모두 마이너스 수준으로 떨어진 국가도 있었다.

도이체방크는 “국가부채, 금리, 중앙은행 보유자산 간의 관계가 매우 이상한 양상을 띠고 있다”면서 향후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것 이라 설명했다.


도이체방크는 연준의 양적 긴축 외에도 이탈리아의 정치적 혼란, 잠재적인 “중국 위기”, 떠오르는 포퓰리즘, 브렉시트 완료 등을 꼽았다.

jwyoon@fnnews.com 윤정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