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4차 산업혁명위, '스마트 시티' 신흥국 수출 모델로 키운다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07 10:32

수정 2017.11.07 10:32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산업의 결정체인 ‘스마트 시티’ 조성에 속도를 내고있다.

4차 산업혁명위 산하에 스마트 시티와 보건·의료 분야(모바일 헬스케어 등) 특별위원회를 각각 신설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른바 ‘선택과 집중’ 전략이다. 한국의 최대 강점인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IoT) 전국망을 기반으로 도심 속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융합을 통해 첨단 도시를 구축한다는 복안이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련 업계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위는 이르면 이달 말 ‘4차 산업혁명 기본정책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또 4차 산업혁명위 산하에 스마트 시티 특위를 구성해 추진방향을 논의한 뒤, 다음달 4차 산업혁명위에 심의·조정 안건으로 상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4차 산업혁명위 관계자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위에 별도의 스마트 시티 특위를 구성하는 방안과 국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전략 등이 보고 됐다”며 “민관이 함께 빅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체계를 마련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비식별 개인정보 기반 빅데이터로 공공분야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는 ‘거버먼트 테크놀로지 에이전시(거브테크)’를 통해 스마트 시티 인프라를 구축, 대중교통 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해 교통 흐름을 관제하는 것은 물론 3차원(3D) 지리 정보를 기반으로 도시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그동안 전자상거래, 금융, 제조 분야 마케팅 수단이었던 빅데이터가 첨단 도시 인프라 및 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를 국내에 적용하면 SK텔레콤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이나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택시’, ‘카카오드라이버’와 같은 교통 온라인·오프라인 연계(O2O)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정부도 스마트 시티의 핵심 과제로 빅데이터 활용을 꼽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신도시 중심의 ‘유-시티(U-City) 전략’과 폐쇄회로TV(CCTV) 등 개별 요소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키워왔지만, 데이터 축적 및 활용이나 민간 비즈니스 창출에 미흡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빅데이터와 IoT를 활용하면 아동학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는 등 사회 안전망 역할까지 가능하다.

이와 관련 글로벌 인공지능(AI) 컴퓨팅 업체 엔비디아는 최근 딥러닝(인간두뇌와 유사한 심층학습) 기반 AI도시 ‘메트로폴리스 지능형 플랫폼’을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실시간 포착되고 있는 CCTV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 뒤, 익명화된 사람과 자동차, 시설 등을 분석해 공공안전 및 관리 효율성을 높여주는 게 강점이다.

한편 영국 컨설팅사인 아서디리틀(ADL)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2조달러 규모(약 2200조6000억원)의 스마트시티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그만큼 성장 요인이 큰 사업군으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 정부도 신흥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모델로 스마트 시티 사업을 고려 중이다.
4차 산업혁명위 관계자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 등에서 그동안 추진해온 기존 스마트 시티를 통합 플랫폼으로 묶어 고도화한 뒤, 신흥국 수출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