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위해 새로운 국제금융체제 필요"

이병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15 17:46

수정 2017.11.15 17:46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 축사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2017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 축사하고 있다. 사진=서동일 기자

앞으로 예고없이 다가올 수 있는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이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새로운 국제금융체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획재정부와 KDI가 1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한 '2017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한 국제기구 관계자, 국내외 석학 등은 지역내 무역 및 금융의 연계성이 커지고 있고 자본 변동성 등이 주요 리스크로 떠오르고 있다고 지적하며 역내 기구 등을 통한 위기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컨퍼런스는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의 개회사와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고 차관은 글로벌 경제의 연계성 및 국가 간 위험의 전이와 확산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철저한 사전대비가 중요하다고 밝히며 이를 위해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역할 강화,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비한 조치, 디지털 경제를 위한 혁신, 포용적 성장 추구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제금융체제와 아시아 외환위기'의 주제로 진행된 첫 번째 세션의 연사로 나온 아눕 싱 조지타운대 교수는 "글로벌 유동성 리스크는 변동성 모니터링 및 리스크 식별을 위한 국제정책체계의 역량을 시험하고 있다"며 "G20 주도의 IMF 개혁, 미국 연준 중심의 양자스와프 및 지역금융협의체 등 유동성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 국제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 역시 심화되는 금융세계화에 대비하기 위해 아시아 국가들은 외환보유액을 높이고 통화스와프 등 여러 금융안전망을 확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와타나베 야수토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 부소장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다자화(CMIM)와 아시아채권시장 발전방안의 설립은 양자주의에서 다자주의적 국제공조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하며 "앞으로 지역의 자본이동 및 자산가격 변동성, 보호무역주의, 지정학적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지역금융안전망이 위기 시 유동성을 공급하며 거시경제정책의 건전성 제고 유인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재부는 이번 컨퍼런스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G20 회원국 간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에 대한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