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한은 금리인상]자세 바꾼 '한은', 추가 인상 속도는?(종합)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1.30 09:55

수정 2017.11.30 09:55

[한은 금리인상]자세 바꾼 '한은', 추가 인상 속도는?(종합)
한국은행 30일 서울 세종대로 한은 삼성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11월 기준금리를 지난달 대비 0.25%포인트 오른 1.50%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 2011년 6월 인상 이후 6년5개월만에 인상이 이뤄졌다.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은 수출 중심으로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향후 한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출·가계부채·금리역전 우려
한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가 인하된 이후 17개월 동안 동결을 이어왔다. 하지만 최근 수출을 중심으로 경기회복세가 나타나면서 이 같은 분위기는 내부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다.
이는 우리 경제는 수출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한은이 발표한 10월 수출물량지수 잠정치는 133.60(2010=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9% 하락했다. 사상 최장 추석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어들면서 지난달 수출물량이 감소한 것이다. 그러나 연휴 전 밀어내기 영향으로 67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었던 9월과 합쳐서 보면 수출물량지수는 지난해 동기보다 8∼9%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출금액지수는 118.85로 작년 동월 대비 5.2% 올라 성장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한은은 수출 호조의 영향으로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2.8∼2.9%) 웃도는 3%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우리 경제가 각각 연 3.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부에 비해 외부의 시선이 더 긍정적인 것.

가계부채가 위험수위에 이르렀다는 판단도 한은의 금리 인상 결정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한은의 지난 3·4분기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은 1419조1000억원으로 한은이 집계를 시작한 지난 2002년 4·4분기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계속되는 정부의 부동산 및 가계부채 관련 대책에도 좀처럼 가계부채가 줄지 않고 있는 것이다.

또 한은은 미국의 12월 금리인상 가능성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다음달 14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한은이 이에 앞서 금리를 올리면서 금리역전 현상을 선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한은 입장에서는 이날 금통위가 올해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따라서 이번에 금리를 인상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이 12월에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내년 1월 한은의 금통위까지 약 2개월 동안 금리역전 상황이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금리 차에 의한 자본유출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추가 인상 속도는?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 한은이 내년에 몇 차례 더 인상할 지 여부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반적인 분위기는 추가적 금리 인상의 속도가 완만하고 점진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수출에서 시작된 경기회복의 분위기가 아직 내수나 고용시장까지 확산되지 않고 있으며 수요 인플레이션 압력도 제한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직전 금리인상기를 봐도 한은은 지난 2010년 7월 인상을 결정한 이후 4개월만에 추가 인상에 나선 바 있다.

시장에서는 내년에 기준금리가 1~2회 더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변수가 되는 부분은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를 비롯홰 경기회복세 지속 여부,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시장의 움직임 등이다.

특히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크게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경우 내년 기준금리가 3회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과 미국 간 금리역전에 따른 자본유출을 우려해 한은이 추가 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최배근 건국대학교 교수는 "우리 금리에 미치는 요인은 경제지표로 이야기 하고 있지만 대외적 요인으로도 만들어진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이 금리 2~3차례 올릴 경우 우리만 동결하기 힘들다.
선진국과 금리 방향과 우리 금리 방향은 동조화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