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씨티 등 월가 경제전문가 "2018년은 진정한 긴축의 해 될 것"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2.12 17:43

수정 2017.12.12 17:43

주요국 금리 빠르게 올라 2006년 이후 최대폭 전망
재닛 옐런 美 연준의장, 제롬 파월 차기 美 연준의장,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 마크 카니 영국 중앙은행 총재(왼쪽부터) 연합뉴스
재닛 옐런 美 연준의장, 제롬 파월 차기 美 연준의장,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 총재, 마크 카니 영국 중앙은행 총재(왼쪽부터) 연합뉴스

【 워싱턴=장도선 특파원】 월가 경제 전문가들이 투자자들에게 내년 선진 경제권 금리가 10여년래 가장 가파른 속도로 상승할 것에 대비하라고 조언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 경제가 2011년 이후 가장 강력한 성장흐름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씨티그룹과 JP모간은 새해 선진 경제권의 평균 금리가 최소 1%로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이 맞는다면 선진국 금리는 내년에 2006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하게 된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양적완화(QE) 규모도 빠르게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월간 순자산 매입이 올해 9월 1260억달러에서 내년 말 180억달러로 크게 감소하고 2019년 상반기중 마이너스로 전환될 것으로 분석했다. 중앙은행들은 금융위기 이후 투자자들의 위험 감수 및 소비자와 기업들의 대출 확대를 유도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저금리와 함께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해왔다.


선진국들의 내년도 가파른 금리 인상 전망은 점차 동시 진행 양상을 보이고 있는 글로벌 경기 확장세가 비록 완만하지만 마침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만큼 강력해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중앙은행들이 수요를 위축시키거나 자산시장을 흔들지 않으면서 양적완화로부터 후퇴하는 것은 차기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지명자인 제롬 파월 등 선진국 중앙은행 정책결정자들에게 주어진 커다란 도전이자 과제다.

씨티그룹의 글로벌 경제 디렉터 에브라힘 라바리는 "2018년은 진정한 긴축이 이뤄지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금융시장이 통화정책을 아주 잘 다룰 수 있는 현재의 궤도에 계속 머물겠지만 내년 말 또는 2019년에는 통화정책이 복잡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도 금리 인상에 대한 그림은 이번 주 연준을 비롯해 영란은행(BOE), 유럽중앙은행(ECB), 스위스국립은행(SNB), 노르웨이 중앙은행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의 2017년 마지막 정책 결정 발표 후 보다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최소 다른 10개 중앙은행들도 금주에 정책결정을 발표한다. 연준은 13일 정책성명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 2월 물러나는 자넷 옐렌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내년 추가 금리 인상 신호를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14일에는 ECB, BOE, SNB의 정책 결정이 나온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내년 선진국들의 평균 금리가 0.4%포인트 상승, 1%로 상향 조정돼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추산한다. JP모간은 평균 금리가 금년 말의 0.68%에서 0.5%포인트 넘게 올라 1.2%에 달할 것으로 보다 매파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씨티그룹은 연준과 캐나다중앙은행(BOC)이 내년에 각기 3차례 금리를 올리고 영국, 호주, 뉴질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중앙은행들은 1차례씩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간은 내년도 연준의 금리 인상을 4회로 전망한다. 블룸버그의 가장 최근 설문조사는 연준이 2018년 금리를 세번 올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전 조사에서 6월로 전망했던 금리 인상 시기를 3월로 앞당겼다.


이같은 금리 인상 견해는 내년 세계 경제가 약 4% 성장, 2011년 침체에서 반등한 이후 최고의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을 배경으로 한다. 선진경제권의 실업률 하락, 무역 증가와 기업 지출 확대, 그리고 미국의 감세 가능성이 2018년 글로벌 경기 확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내년에 선진국 소비자물가가 1.7% 올라 2012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하겠지만 대부분의 중앙은행들이 물가 안정 기준으로 간주하는 2%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다.

jdsmh@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