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아시아 중앙은행들 불어난 부채가 금리인상 발목

서혜진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2.12 17:43

수정 2017.12.12 17:43

선진국 금리인상 압박에도 통화정책 카드 많지 않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연준의 보폭을 따라잡기는 힘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수년간 저금리 기조속에 눈덩이처럼 불어난 부채가 금리인상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지적이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데이비드 만 스탠더드차타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아시아에서 불어난 부채가 (통화) 긴축 사이클을 억제할 것"이라며 "(금리인상에 따른 부채 부담의) 민감성을 알면서 금리를 올리기는 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미 연준이 내년 금리인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아시아 중앙은행들도 연준의 보폭에 맞춰 금리인상에 나서야 한다는 압박을 받겠지만 수년간 지속된 저금리 기조 속에 대폭 불어난 가계 및 기업부채로 인해 조심스러운 행보를 취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가처분소득 대비 150%로 급증했다.
정부의 부동산 진정 노력에도 한국의 올해 3.4분기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은 1419조1000억원으로 불어난 상태다.

한국 다음으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말레이시아 역시 가계부채 규모가 상당하다. 말레시아의 가계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88%다. 이는 개발도상국치고는 높은 수준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지적했다.

중국은 기업 부채만 GDP 대비 160%에 달한다. 최근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 전문가들은 중국인민은행이 연준에 발맞춰 금리인상에 나서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은 지금 경제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는 금리인상 대신 대출규제 등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레버리지 축소에 나서고 있다.

인도는 정부부채가 GDP 대비 70%에 육박한다. 인도중앙은행 역시 금리인상에 과감히 나설 수 없는 이유다. 인도 최대 상업은행인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의 소먀 칸티 고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대출금리가 0.40~0.50%포인트 상승할 경우 이자부담이 320억루피(약 5417억6000만원) 늘어난다고 추산했다.


일본의 경우 조만간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망했다. 이는 일본은행(BOJ)이 경기부양을 위해 정부채와 상장지수펀드(ETF), 부동산 투자신탁, 회사채, 상업용 채권 등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을 낳는다.
일본은행은 전체 국채의 40% 이상, 상장지수펀드(ETF) 70% 이상을 보유중이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