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노인 돌보미 로봇이 ‘치매국가책임제’ 보완재 역할 한다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2.19 15:00

수정 2017.12.19 15:00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산하 '헬스케어 특위'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4차위)가 도시 인프라(스마트시티)에 이어 의료(헬스케어)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는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방대한 진료정보와 의약품 성분 등을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으로 분석해 개인 맞춤형 정밀진단 및 치료 등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 시스템에도 ICT을 결합, 노인·장애인 돌보미 로봇과 신체활동 지원 웨어러블 슈트(스마트 의류) 등을 개발·확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4차위는 19일 ‘헬스케어 특별위원회(헬스케어 특위)’를 구성, 첫 회의를 개최했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헬스케어는 고속성장과 파급력 있는 융합이 예상되는 분야”라며 “우리나라는 우수한 의료인력 및 기술, 의료·정보기술(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어 국민 건강 증진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사람중심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핵심정책 중 하나인 ‘치매국가책임제’와 관련, 노인·장애인 대상 간병·간호 로봇과 이동·배변·보행 지원 로봇 등이 보완재 역할을 하는 방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의 경우 양로원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노인들과 함께 생활체조를 하거나, 치매 예방을 위해 퀴즈를 풀고 일상적 대화를 나눈다.

헬스케어 특위는 박웅양 성균관의대 교수가 위원장을 맡는다. 또한 맞춤 의료와 혁신의료기기 등 헬스케어 분야 산학연 전문가 16명과 위원회 위원 5명이 참여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 복지부, 산자부, 식의약처도 함께 참여해 국가 전략적 관점에서 논의과제를 검토하고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위는 내년 1월부터 1년 간 스마트 헬스케어와 신약·의료기기 혁신 및 사회문제 해결, 규제·인프라 정비 등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오는 2022년까지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전자교류 체계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건강보험 수가(가격)도 반영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한 관련 연구개발(R&D), 시장진입, 제도개선, 인력양성 등을 종합해 심층적으로 논의할 방침이다.
박웅양 특위 위원장은 1차 회의에 앞서 “의료계에 오랫동안 몸담고 있던 기초의학자로서 ‘사람중심의 기술·산업 혁신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다양한 전문가 및 이해 관계자와 미래 헬스케어 추진전략을 수립 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위원회를 운영하겠다”라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