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현대重 '실탄' 확보… 수주절벽 대비 사업구조 재편

김경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12.26 22:45

수정 2017.12.26 22:45

재무건전성 강화 신사업 투자재원 마련
현대重 '실탄' 확보… 수주절벽 대비 사업구조 재편

현대중공업그룹이 지주사 전환을 위한 사업구조 재편의 마지막 단추를 빠르게 채우고 있다. 미뤄왔던 현대오일뱅크 상장과 함께 현대중공업의 1조2375억원대 유상증자, 순환출자고리 해소 등을 내년에 한꺼번에 추진한다. 이번 조치로 현대중공업그룹은 대규모 현금 확보가 가능해진다. 수주 급감으로 매출이 급감한 현대중공업은 재무건전성 확보를, 신규 상장에 나선 현대로보틱스는 대규모 연구개발(R&D) 및 투자금 확보에 도움을 얻을 전망이다.

현대중공업그룹 지주회사인 현대로보틱스는 재무건전성 강화와 신사업 투자재원 마련을 위해 91.1%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 현대오일뱅크의 기업공개(IPO)를 26일 결정했다.

또 이날 현대중공업도 이사회를 열고 총 1조2875억원(1250만주)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가장 먼저 현대중공업그룹은 현대오일뱅크 상장을 통해 그룹의 전반적인 재무안정성을 높이고, 지난해부터 진행해온 사업구조 재편 및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964년 설립된 현대오일뱅크는 석유 정제품 제조업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종합 에너지기업으로 지난 3.4분기까지 매출 11조7000억원, 영업이익 8590억원을 기록했다. 정유.화학업황 호조 및 비정유사업 확대 등에 힘입어 올해 영업이익은 1조원을 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현대중공업의 초대형 유상증자 결과로 현대중공업그룹 조선3사는 순차입금을 모두 해소, 약 5000억원 규모의 순현금을 보유하게 된다. 지난 몇년간 수주 가뭄으로 어려웠던 자금난에 숨통을 어느 정도 틔워줄 것으로 기대된다.

■오일뱅크 유상증자 120% 초과 목표

현대중공업의 최대주주인 현대로보틱스는 이번 유상증자에 120% 초과 청약할 것을 결의하며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였다. 현대로보틱스는 추가 지분 확보를 통해 안정적인 지주사 체제를 확립하는 한편, 2019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본격적인 조선업황 회복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실제로 현대중공업그룹 조선3사는 2017년 상선부문에서 목표인 75억달러를 크게 웃도는 100억달러(150척)을 수주하며 동종업계와 차별화된 실적을 거뒀다.

또한 내년에는 지난해 실적 대비 30% 이상 증가한 132억달러를 조선 수주 목표로 설정하며 시장 회복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앞서 현대중공업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를 이끌 경영진 세대교체도 대폭 단행했다. 정몽준 현대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의 맏아들인 정기선 전무는 계열사인 현대글로벌서비스의 공동대표에 내정돼 경영승계에도 한 발짝 다가섰다는 평가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주회사인 현대로보틱스를 조만간 현대중공업지주(가칭)로 사명을 변경한다. 이후 지주사 전환을 위한 작업을 마무리하고 미래사업 발굴과 투자에 매진할 예정이다.

■4개사 2021년까지 3조5000억 R&D 투자

현대중공업그룹 4개사는 독립법인의 첫 행보로 2021년까지 기술개발에 3조5000억원 투자, 설계 및 연구개발인력 1만명 확보, 신인사제도 도입 등을 주내용으로 한 '기술, 품질 중심의 경영전략'을 추진키로 이미 밝힌 바 있다.

현대중공업은 5년간 시설투자 3900억원을 포함한 총 2조500억원을 기술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친환경 선박 및 스마트십 개발과 해양플랜트 설계능력 강화, 디지털화된 스마트 야드 구축 등을 통해 선제적 기술확보와 고품질로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기 위한 전략이다.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과 현대건설기계는 각각 6800억원과 66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을 기술개발에 투자한다.

현대로보틱스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정용 로봇 사업 확대와 서비스 사업 확장을 위한 부품 공용화 개발, 클린룸 신축 등에 11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향후 매출액 대비 기술개발투자를 글로벌 선진기업 수준인 6~7%까지 확대해 기술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fnSurvey